FOMC는 지난번에 왜 빅컷을 단행하게 되었나요?
이번에 FOMC는 매파적 스탠스를 취하였습니다
그런데 이전에 FOMC에서 빅컷을 단행하였고
어찌보면 베이비컷이 아닌 빅컷을 한 영향이 지금 온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한데
베이비컷을 나누어서 하는 것이 아니라
왜 한번에 빅컷을 단행하게 되었는지요?
베이비컷을 두차례하는 것과 빅컷을 한차례하는 것은 결국 인하폭은 동일한데
경제적 효과는 다르게 나타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당시에는 FOMC에서 미국의 경기침체를 걱정하던 시기였기 때문에 선제적인 금리인하를 가져갔습니다
즉 보험적 금리인하로 불리던 빅컷입니다.
결과적으로 그 조치는 성공적이였다고 보여지고 현재 미국의 경제는 어느때 보다 활황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빅컷은 시장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가 훨씬 크게 됩니다. 미국은 계속 고금리정책을 해오면서 경기 둔화 흐름을 보이자 이를 반전 시키기 위해서 빅컷을 단행했으며 이번주 베이비컷, 내년 금리인하를 4차례에서 2차례로 변경하여 속도 조절을 하고 있습니다.
그때 당시만 해도 지금과 분위기가 달랐습니다. 그때쯤에는 미국도 경기 침체로 가느냐 아니면 연착륙을 하느냐 이것 중에서 어느 쪽으로 갈지 명확하게 판단이 안 서는 시점이었습니다. 그래서 비 컷을 했고 확실히 한꺼번에 크게 금리를 내리면 시장 반응이 더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FOMC는 왜 지난 번에 빅컷을 단행하게 되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판단의 문제로 연방준비위원들은 0.50퍼센트의
기준금리인하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경기의 흐름을 보다 유연하게 만들기 위해 빅컷을 단행하여, 유동자금으로 인해 경제를 활성화시켰다는 이미지가 있습니다. 빅컷을 하게 된다면, 가계부담이 완화되어 가계운영에 도움이 되며, 투자에도 보다 활발하게 이뤄질 수 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