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나라때 사숙은 어떤 존재인가요?
명나라때 선생말고도 사숙이란 존재가 있었는데요
사숙이란 존재는 어떠한 존재이며 일반 선생님과는 어떤 차이가 있던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숙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직접 가르침을 받지는 않았으나 마음속으로 그 사람을 본받아서 도나 학문을 닦는다는 의미입니다.
선생과 사숙의 차이를 굳이 따져보자면
스승(선생)을 통해 가르침을 받는 것은 하나의 수동적인 학습 방법인 반면에
사숙은 어떤 존경의 대상을 찾는다는 것에서 능동적인 학습 방법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이것은 개인적 견해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숙은 직접 가르침을 받지는 않았으나 마음속으로 그 사람을 본받아 배우는 것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숙(私淑)이란 私 : 사사로울 사, 淑 : 사모할 숙 을 쓰는 한자어 입니다. 옛날 사람 또는 먼 곳에 있는 사람에 대하여 마음속으로 그 德을 사모한다는 말로, 직접 가르침을 받을 수는 없으나 그 사람을 스승으로 삼아 자기의 학문이나 인격을 수양한다는 의미이다. 사(私)자가 원래는 '벼의 일종'을 가리키는 것이었으니 '벼 화(禾)'가 의미요소이고, 사사 사(厶)는 발음요소였다. 그런데 그 본뜻보다는 발음요소인 의 의미 즉 '사사롭다'는 뜻으로 많이 쓰이는 매우 특이한 예(例)입니다. 예를 들어 군인 이라면 이순신 장군이나 맥아더 장군을 사숙으로 사을 수도 있을 것이고 정치가 라면 박정희 전 대통령이나 윈스턴 처칠 영국 수상을 사숙으로 삼을수도 있을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