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증시만 왜 나홀로 약세를 보이고 하반기에도 이런 흐름으로 예상하고있나요?
유럽이나 미국 선진국이외 주요 개도국들도 지수가 사상최고가흐름을 유지중인데 왜 유독 한국증시만 나홀로 약세를 보이는지 그리고 하반기에도 히런 추세를 예상하는지 궁금합니다
질문해주신 한국증시만 나홀로 약세인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다른 나라들은 주식회사들의 관심이 투자자들에게 있지만
한국의 회사들은 대주주와 기업 오너들에게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구조적 문제가 해소되지 못하는 한 한국 증시는 계속 약세일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괜히 국장탈출은 지능순이라는 말이 나오는게 아닌거 같습니다 하반기엔 이번에 시행하는 벨류업 프로그램이 정착해서 자사주 소각도 많이하고 배당도 많이 줘서 우리나라 지수도 떡상하길 기대해봐야죠 성투하세요!
한국증시의 특성상 외국인 투자자들의 영향을 크게 받는데, 최근에는 외국인들의 한국 주식 매도세가 강해지면서 한국증시가 약세를 보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반기에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는 미중 무역 분쟁이 여전히 미해결 상태이고, 글로벌 경기 둔화가 계속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전문가 입니다.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북한과의 긴장 상황이 지속되면서 외국인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 증시의 대표적인 기업인 삼성전자의 실적 부진으로 전체적인 증시 분위기가 악화되고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의 침체로 인해 부동산 PF 대출 문제가 발생하면서 금융시장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반기에도 이러한 추세가 이어질지는 불확실하며,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인상 여부와 경기 회복 여부 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본 증시의 강세와 중국 증시의 약세도 한국 증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엔화 약세와 공급망 재편 등의 요인으로 일본의 수출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자금이 일본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한국 증시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한국 증시가 최근 다른 나라의 증시에 비해 약세를 보이고 있는 이유로는 첫번째로는 미국 등 우리나라를 제외한 국가에서 계속해서 금리를 인상할 때 우리나라의 경우 국내 자산 시장 특히, 부동산으로 인해서 금리 동결을 계속해서 추진해 왔습니다. 현재는 인플레이션이 많이 잡히면서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해 다른 국가는 증시가 상승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계속해서 금리를 동결해옴에 따라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사실상 없는 수준의 상태입니다. 또한, 최근 원화대비 환율이 크게 강세를 보이고 있어, 수출 기업들의 수익 감소로 이어져 부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제일 중요한 이유로는 전 세계에서 유일한 분단국가라는 사실에 해외 외국인이나 기관 투자가 많은 수요를 떨어뜨리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일단 저는 지금 우리나라증시 걸림돌이 강달러라고 생각합니다. 미국이 금리 인하하고 달러 강세가 좀 줄어들면 우리나라같은 신흥국주식으로 돈이 좀 들어오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국내 증권사들도 하반기에는 3000 전후 정도 될거라고 예상치를 내놓고 있더라구요. 미래는 알수 없지만요ㅠ
✅️ 한국증시는 펀더멘탈 즉, 기초체력이 약하고 외국인 투자자들 입장에서 '굳이 한국에 투자해야해?' 라고 하는 경우가 많은데다 국민들 대다수가 국내 증시에 부정적이기 때문에 나홀로 약세를 보이고, 앞으로 전망도 밝지 않은 게 됩니다.
한국 증시만 나홀로 약세를 보이는 이유는 환율여건이 좋지 못한 것을 하나의 예로 볼 수 있습니다.
엔화가 계속적으로 가치 하락함에 따라 일본 기업들의 외국에 수출하는 물품이 싸지게 되고 엔화가 세계적으로 사용이 많아 지는데 한국의 환율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기업들의 수출이 하락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하반기에도 한화의 강세가 이뤄진다면 보합의 형태를 보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우리나라 증시의 경우에는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뿐만 아니라, 새로운 제조업 국가들이 성장했다는 부분과 더불어 차이나쇼크 영향이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