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연금문제 어떻게 해결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이세나나오입니다.
우리나라 연금문제가 매우 심각한걸로 알고있습니다.
머지않은 미래엔 연금을 받지 못할수도 있다라는 통계가 나오기도 하는데
아직까지 정부에서 이렀다할 대책을 마련하지 못해서 좀 더 걱정되긴합니다.
이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미 출산율이 1 미만으로 떨어졌고 향후 20~30년 뒤에 일할 인구는 지금의 3분의1로 줄어들게 됩니다
그렇다면 부담은 단순계산으로 66% 상승하게 되는데 이를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입니다
지금이라도 더 내고 덜받는 정책이 나와야 하지만 현재 유권자의 표를 잃어버리는 이러한 정책을
그 누구도 제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아마도 국민연금이 고갈되기 직전까지도 개선을 외치는 사람은 소수의견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결국은 연급 수급 개시 연령을 올리고(* 현재 최대 65세 -> 70세 ), 국민연금의 요율( 현 9% -> 13~14% 내외 )을 올려서 해결할 수밖에 없습니다. 낼 인구는 줄어드는데 이 두 가지 방법 말고 딱히 다른 대안이 없는 상황이라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민연금은 노령, 질병, 부상으로 인한 장애 또는 사망에 대하여 연금 급여를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생활안정과 복지 증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그래서 국민연금은 국민에게 꼭 필요한 제도입니다. 하지만 2055년에 예상되고 있는 국민연금의 기금 고갈로 인해 불안감은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이에 여야가 논의중인 보험료율을 인상할 것인지의 여부와, 보험료를 돌려받는 소득대체율을 유지해 '재정 안정성'을 유지할 것인지를 조속히 결정해 연금재정을 강화해야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 볼때는 어느정도 여야가 합의해나가서 가닥이 잘혀가는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이야 특히 소통을 안하고 있고 격렬히 싸우고 있지만, 국민들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국내 여러 중대사안들이 해결되면 될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의 국민연금 문제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선 국민연금 받는 시기를 최대한 뒤로 늦추고 조금이라도 더 오래 내는 방법으로 가야하고
동시에 국민연금공단에서도 최대한 수익을 높이려는 방법을 찾아야 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연금 문제는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인해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연금 제도를 개혁하여 재정적으로 더 안정되게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국민들은 개인 연금과 같은 추가적인 저축 수단을 활용하여 미래를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신기백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민연금 문제는 정말 중요한 이슈입니다. 국민연금 재정 고갈 문제는 이미 많은 전문가들이 경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첫째, 연금 보험료율 인상입니다. 현재 보험료율은 약 9% 수준인데, 이는 다른 OECD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낮은 편입니다. 보험료율을 점진적으로 인상하여 재정 안정을 꾀할 수 있습니다.
둘째, 수급 연령 상향 조정입니다. 현재는 62세부터 연금을 받지만, 이를 단계적으로 높여가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수명 연장과 함께 수급 연령을 높이면 연금 지급 기간이 줄어들어 재정 부담이 줄어듭니다.
셋째, 연금 지급 구조 개편입니다.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하는 기초연금을 강화하고, 추가적인 소득을 원하는 사람들에게는 개인연금이나 퇴직연금을 통해 보완하는 방식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기본적인 생계는 보장되면서도 개인의 선택에 따라 더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넷째, 투자 수익률 제고입니다. 국민연금 기금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투자 수익률을 높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 글로벌 투자 전략을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연금 제도의 투명성을 높이고,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국민들이 연금 제도에 대한 신뢰를 가질 때,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이렇게 다양한 방안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실행하여 국민연금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사실 연금은 소득대체율이 높아야 운영 유지될 수 있어요. 유럽이나 다른 선진국은 소득대체율이 70%가 넘는곳도 있을만큼 연금을 많이 걷어가는데, 우리나라도 그정도로는 올라가야 노후준비가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조형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연금지급 기준과 연금보험료 징수 기준이 변경될 사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연금보험료 납부할 수 있는 경제인구 확보를 위한 완화적인 이민정책의 시행, 연금기금 운용수익 개선 등 다양한 방안으로 연금고갈을 방지해야 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민연금 고갈 문제로 많은 국민들께서 걱정이 않으신듯 합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결국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해결책이 나올 것이라고 봅니다.
지금 우리나라의 복지 제도를 보면 불과 20여년 전만 해도 상상도 못했던 것들이 많습니다.
국민연금도 지금의 셈법과는 다른 묘책을 기대해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