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순한까마귀263
순한까마귀26320.09.26

울세제와 드라이클리닝 세제의 차이점은?

울세제나 드라이클리닝 세제 용기에 보면 둘 다 고급의류 세탁시 사용하면 된다고 해서 전 따로 구분없이 울세제나 홈드라이 세제를 사용해 세탁했는데 종종 옷이 줄어들고 형태가 변하더라구요 두 세제의 차이점이 뭔지 용도별로 어떤 의류를 세탁할 때 사용해야 되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0.09.28

    드라이클리닝세제와 울세제는 둘다 중성세제로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드라이클리닝세제는 일반세제처럼 사용하시면 됩니다!하지만.집에서 다림질까지 제대로 할 생각이 없다면, 드라이클리닝은 세탁소에 맡기는걸 추천해요!

    울세제는 실크나 순모를 세탁할 때 집에서 드라이클리닝의 효과를 보고싶을 때 사용해요! 손세탁을 하셔야하는데, 여기서 주의하실 점은 세탁할때 물온도가 일정해야 구김이 안생깁니다!


  • 울세제나 홈드라이, 울샴푸 등은 모두 중성세제의 상품이름이며 거의 성분이 유사합니다.

    이런 세제로 세탁을 하는 것과

    세탁소에서 드라이클리닝을 하는 것은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들면 홈드라이로 세탁을 할때 물에 이런 세제를 풀어서 하지만,

    세탁소에서는 유기용제(석유계, 염소계등) 등으로 세탁합니다.

    즉 세탁용매가 다른 것입니다. 물과 유기용제로 차이가 있습니다.

    예들 들면 유기용제로 세탁을 하면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휴지(화장지 같은)도 풀리지 않고 그대로 나온답니다.

    하지만 중성세제를 넣고 휴지를 세탁해 보세요. 쉽게 풀어질 것입니다.

    다만 가정에서 사용하는 세제 중 음이온계 알칼리성 세제(일반세제)에 비해

    비이온계 중성세제가 상대적으로 소프트한 세제라 섬유에 무리를 덜 주게됩니다.

    이런 이유에서 홈드라이 등의 이름을 붙인 것입니다.

    비전문가 입장에서는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옷을 세탁할 때는 품질표시를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간혹 품질표시가 지나치게 드라이클리닝만 하게 표시되어 있는 경우도 있기는 합니다.

    오염의 성격을 제외한 경우

    소재가 합성섬유(폴리에스터, 나일론 등)나 면, 아크릴 등은 물세탁이 좋습니다.

    하지만 모, 실크, 레이온 등은 세탁업체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죽, 모피 등은 반드시 품질표시에 나와 있는 것처럼

    가죽이나 모피만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가죽세탁전문점을 이용하세요.


  • 세재의 종류는 알캍리성세제, 중성세제, 산성세제 이렇게 3가지로 나뉩니다.

    울세제와 드라이클리닝 세재는 중성세재로 같은 계열의 세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소재마다 세탁법이 다를 수 있어요. 중성세재를 사용해서 세탁기에 돌려도 되는 소재가 있고,

    직접 손으로 조물조물 세탁해야되는 소재가 있습니다. 의류에 붙은 태그를 확인하고

    물세탁 가능하며 울샴푸 사용해야된다면 조물조물 손세탁하시면 되십니다.

    물세탁 제품만 사용하라고 되있는지 작은 글씨도 한번 더 확인해보세요


  • 울세제나 드라이크리닝세제는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털옷이나 견직물로 된 옷을 빨래할 때 쓰는 세제로 그 액성(pH)가 7.0정도 되는 중성세제입니다.

    즉 단백질로 된 털옷이나 비단이나 양단으로 된 섬유를 세탁할 때 쓰는 세제입니다.

    미온수로 손빨레 하셔야합니다.

    옷감의 손상은 세탁방법에 문제로 보여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