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집좀구해주세요
집좀구해주세요

주식 상한가 기준이 궁금합니다 바로 매도할수 있나요?

주식이 상한가를 치면 30%까지는 상한가자나요 근데 그날 주식이 상한가 되면 무조건 그날은 안떨어지는게 맞나요? 그리고 상한가 되자마자 먀도 할수 있는건가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주식의 상한가나 하한가의 경우에는 가격제한폭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30%에서 -30%까지 가격변동이 이루어지게 되요. 주식이 상한가를 가게 되더라도 매수하는 주체가 사라지고 매도자가 많아지는 경우에는 상한가가 풀릴수도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주식이 당일 상한가가 되도 상한가 매수잔량이 빠지면 상한가가 풀리게 됩니다. 그이후 상승률이 떨어지고, 주가가 하락할수도 있습니다. 주식의 하루최대 변동폭은 -30%~+30%이며, 상한가시 매도하면 즉시체결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전문가 입니다. 주식이 상한가 에 도달한다 하더라도 상한가에 있는 매수 물량이 전부 없어지고 매도 수령으로 바뀌게 되면은 상한가가 풀려서 주식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상한가에 있는 매수 호가에 전부 매도하는 경우 매수 잔량이 있는 경우에는 매도가 가능한 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장이 끝나기전에 상한가에 갔다고해서 계속 유지되는 것은 아닙니다.

    언제라도 다시 상한가 아래로 내려갈수있습니다.

    그리고 상한가에서는 매수는 어렵지만

    매도는 쉽게 가능합니다.

    상한가 상태에서는 파는 사람보다 사겠다는 사람이 많은 상태이기때문입니다.

  • ✅️ 아닙니다. 상한가를 치더라도 팔고자 하는 공급이 많으면 상한가가 풀리기도 하며, 상한가를 친 상태라면 사고자 하는 사람들 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상한가 물량만큼은 바로 매도할 수 있는 게 맞습니다.

  • 주가는 상한가 가더라도 하안가로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매도 주문도 직접 넣으셔야 주문이 체결됩니다

    상한가를 목표로하는 것보다 안정적인 투자하시길 바라겠습니다

    1. 아닙니다, 상한가가 되었다가 다시 떨어지는 경우도 부지기수 이며, 심지어 30%가 올랐다가 다시 30%가 빠져 하한가로 직행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2. 보통은 상한가가 되자마자 바로 매도 가능합니다. 다만, VI가 걸리는 등의 상황에서는 바로 매도가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상으로 답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본인이 경험 또는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직접 작성한 정보글로, 단순 착오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당일에 상한가를 찍는다고 하더라도, 갑자기 매도 물량이 많아지게 되면 상한가가 풀릴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30% 이하 수준에서 거래가 됩니다

  • 아닙니다. 해당 주식이 상한가를 친다고 하더라도 다시 하한가를 가는 사례도 있었습니다.

    무조건 상한가가 지속되는 것은 아니니 참고하시길 바라며 상한가일 때 당연히 매도도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