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라는 존재는 언제 나오게 된걸까요
바이러스라는 존재는 숙주가 있어야 살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추정하기를 바이러스라는 존재는 언제 어떻게 나오게 된건지 알고 싶습니다
바이러스가 언제, 어떻게 탄생했는지는 아직 정확히 알지는 못합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바이러스의 기원에 대해 여러 가설을 제시하고 있죠.
그 중에서도 가장 잘 알려진 것은 퇴화가설과 세포 유래 가설, 그리고 최초 바이러스 가설입니다.
퇴화 가설은 바이러스가 한때 독립적으로 살던 세포였으나, 기생 생활을 하면서 불필요한 유전자를 잃고 단순해졌다는 주장입니다.
세포 유래 가설은 숙주 세포 내의 DNA나 RNA 조각이 떨어져 나와 스스로 복제하는 능력을 갖추게 되면서 바이러스가 되었다는 가설입니다.
마지막 최초의 바이러스 가설은 바이러스가 세포보다 먼저 탄생하여 초기 생명체가 진화하던 시기부터 존재했다는 주장입니다.
그러나 이 가설들 중 어느 하나만으로는 모든 바이러스의 기원을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그렇다 보니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기원을 가졌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죠.
안녕하세요. 네, 질문해주신 것과 같이 바이러스는 스스로 살아갈 수 없고 반드시 숙주 세포가 필요하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언제, 어떻게 지구 생명사에 등장했는가의 문제는 생명 기원 연구에서 가장 논쟁적인 주제 중 하나인데요, 이에 관한 가설로는 '세포 퇴화설'이 있습니다. 이는 원래 독립적으로 살아가던 세포성 생물이 점점 퇴화하여 숙주 의존적인 기생자로 변했다는 가설인데요, 예를 들어 일부 세포 기생 세균이 숙주 없이는 생존하지 못하는 것처럼, 바이러스도 이런 과정에서 탄생했을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하지만 바이러스는 리보솜이나 세포막 등의 세포구조가 전혀 없어 단순 퇴화로만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
또는 '바이러스 선행설'이 있는데요, 생명이 세포 형태로 진화하기 전, 원시적인 자기 복제 분자 집합 속에서 바이러스 유사 존재가 먼저 생겨났다는 가설입니다. 즉, 세포 이전 단계에서 이미 원시적 바이러스 같은 존재가 있었고, 이후 세포와 함께 공진화했다는 설명인데요, RNA 바이러스의 단순한 게놈 구조와 리보자임과 같은 자기 촉매 RNA의 발견이 이 가설을 지지합니다. 현 시점에서 볼 때 바이러스가 지구에서 최초의 세포 생명이 등장한 것은 약 35~40억 년 전으로 추정되고 있는데요, 즉 바이러스는 세포에 의존하므로 세포 생명 이후에 반드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바이러스는 세포 생명과 함께 초기부터 존재하며 함께 진화해온 존재라고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의 존재기원은 아직 여러 학설이 있습니다. 초기 유전정보를 보전하기위해서 생물체의 형태중에 하나로 진화했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과거에 유전정보를 복제하고 전달하는 기능을 위해서 생명의 탄생이 되었다고 보는 견해에서는 바이러스도 같은 관점에서 생각해 볼수 있습니다.
바이러스의 기원에 대해 여러 가설이 존재하며,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습니다. 가장 널리 알려진 세 가지 가설로는, 첫째, 역진화 가설(Regressive hypothesis)로, 바이러스가 원래는 숙주세포 안에서 기생하는 작은 세포였다가 점차 필요한 기능을 잃고 단순해졌다는 것입니다. 둘째, 세포 기원 가설(Cellular origin hypothesis)은 숙주세포의 핵산 일부가 탈출하여 독립적으로 복제하는 능력을 갖게 되어 바이러스가 되었다는 가설입니다. 셋째, 공진화 가설(Co-evolution hypothesis)은 바이러스와 숙주세포가 아주 오래전부터 함께 존재하며 서로 영향을 주며 진화했다는 것입니다. 이처럼 바이러스의 기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론들이 논의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