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유상증자와 채권 발행의 장단점을 알고 싶습니다.
기업이 어느 곳에 투자를 할 경우 회사자체의 돈을 사용해도 되지만. 일반 투자자들에게 돈을 거두어들이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압니다.
일종의 남의 돈 빌려 쓰기 같은 것 같은데요.
이 중에 대표적인 것이 유상증자와 채권을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각각의 성격이 다른 것 같은데 각각의 특징과 장단점을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기업의 유상증자라고 하는 것은 주식을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게 되는 것으로서 기업의 입장에서는 부채가 없이 자본금이 증가하게 되고 향후 상환해야 할 의무가 없기 때문에 안정적인 자금을 조달하는데서 유리해요. 하지만 이러한 유상증자는 주주들의 입장에서는 새롭게 신주를 발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존 주주들의 주식 가치가 하락하게 되어 큰 폭의 주식 가격 하락이 발생할 우려가 커지게 되어 좋지 않아요
이외 채권의 경우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단순하게 채권을 발행하는 것이라면 회사는 '직접대출'을 받은 것이다 보니 자금의 상환압박이 있어 재무구조에는 좋지 않으나 주주들의 입장에서는 차입금을 상환하게 되면 주식의 가치는 차이가 없기 때문에 유리하다고 볼 수 있어요
유상증자는 기업이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고 이것을 판매해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입니다.
채권은 기업이 채권을 발행해서 투자자에게 판매해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입니다.
유상증자 장단점: 이자비용이 들지않고, 재무안정성을 높일수있고, 부채증가없이 자금조달 가능한데, 주주의 지분이 희석될수있고, 주가하락 가능성이 큽니다. 주주입장에서는 덜 좋습니다.
채권 발행의 장단점: 장기적인 자금을 조달할수있고, 이자비용이 예측가능합니다. 다만 이자비용이 발생하고, 채권발행이 항상 성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실패하면 이미지 타격이 있습니다.
유상증자와 같은 경우에는 주식수를 늘리기에 이자 등을 부담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채권과 같은 경우 채권을 발행하고 이자 등을 부담하여야 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유상증자란 투자자가 회사의 지분소유에 관심이 있다면 유상증자에 참여하여 신주 인수하는 과정입니다. 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주주로서 주주총회에 참여하고, 이사를 선임함으로써 회사의 경영에 참여하게 된다. 그 외 회사가 이익을 낸 경우 이익배당에 참가할 수 있습니다. 발행회사의 입장에서는 사채의 경우 타인자본으로 차입금으로 계상되지만 주식의 경우에는 자기자본이 되어 상환압박이 없고, 이자상환의 부담도 없는 이점이 있다.
반면, 사채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회사의 채무이기때문에 투자자의 목적이 확정이자를 받고, 일정기간 후에는 원금을 회수할 목적이라면 사채를 인수하는 것이 방법을 이용합니다. 회사의 입장에서는 당장에 돈은 필요하지만 주식지분을 부여하는 것이 부담스럽고, 장차 자금사정이 호전되면 상환하여 투자자를 축출하기를 원한다면 사채를 통하여 자금을 조달합니다.안녕하세요
채권을 발행하게 되면 만기까지 원금과 이자를 갚아야하는 채무증서이기 때문에 기업입장에서는 장기적으로
부담이 되어 돌아오게 됩니다.
하지만 유상증자는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부담이 없습니다.
주당 가치는 희석되지만 나중에 갚아야하는 돈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상증자의 사유가 채무상환 등
급전을 위한 발행이라면 주가에 큰 악재로 작용하게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유상증자의 장점:
자기자본을 강화할 수 있어 재무구조를 개선할 수 있고 이자 부담이 없어 자금 조달 비용이 낮을 수 있음.
또 주주들의 이익을 고려하여 주식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음.
유상증자의 단점:
주식 발행으로 인한 주식 희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주주들 간의 이해관계 충돌이 발생할 수 있음.
채권 발행의 장점:
이자 지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고 주주들의 지분 희석이 발생하지 않음.
채권 발행의 단점:
이자 부담이 발생하여 자금 조달 비용이 높을 수 있으며 채무 상환 부담이 있어 재무 부담이 발생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