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에 따라서 자연재해가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때문일지?
최근 지구온난화를 비롯한 기후 변화에 따라서 세계 곳곳에서는 자연재해가 더 잦아진다는 소식이 있더라고요. 폭우나 가뭄같은 현상을 비롯해서 눈이 너무 많이 오는 현상도 이러한 이유라던데 이게 왜 더욱 심해지는 것인지 궁금하네요. 단순히 지구 온난화가 지구의 열이 오르는 것 뿐만 이런 자연재해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인지 알고 싶어지더라고요. 우리나라야 워낙 사계절이 뚜렷하기도 하고 요새는 폭염과 한파가 더욱 심해지다보니 이런 영향때문인가 싶기도 한데 기후 변화가 우리나라에서도 영향이 일어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기후 변화에 따른 자연재해 증가는 주로 지구 온난화로 인한 물순환의 변화 때문입니다.
온난화로 인해 많은 지역에서 홍수와 가뭄의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기온이 상승하면서 공기 중의 수증기 함유량이 증가하며,
호우가 증가하면서 비가 오늘 날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는 집중호우와 가뭄의 위험을 동시에 높입니다.
또한 기온 상승으로 토양에서의 증발량이 많아져 가뭄이 심해지거나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후 변화는 단순히 지구의 평균 기온 상승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전반적인 기후 시스템의 변화를 초래하여
다양한 형태의 자연재해 증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전 세계적인 현상이며,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폭염, 폭우, 한파, 폭설, 가뭄, 태풍, 해수온도상승, 지진, 산불, 빙하녹음 등 자연재해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폭염, 폭우, 한파, 폭설, 태풍, 해수온도상승 등 계절별로 영향을 미치고 있어 환경파괴는 물론이고 인간의 재산과 인명피해까지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계절이 뚜렸한 우리나라는 온도상승으로 인한 봄과 가을이 줄어들고 있으며 몇십년 뒤에는 겨울이 짧아진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