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갈비둘기
갈비둘기

사람이 인육을 먹으면 몸에 이상이 생기듯 다른 동물들도 그런 게 있을까요?

사람이 동족인 인육을 먹게 된다면 몸에서 이상 증세가 많이 생긴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다른 동물들 또한 같은 동족을 먹으면 몸에 이상 증상이 생기거나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사람이 인육을 먹을 경우 프리온 질환(prion disease)과 같은 심각한 이상 증상이 생길 수 있는 것은 사실이며, 이는 일부 동물에게도 비슷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동족 포식을 하는 동물들 사이에서는 그 영향이 종에 따라 다릅니다. 주요 예시와 그 원리를 살펴보겠습니다:

    ---

    1. 사람의 경우: 프리온 질환

    인육 섭취와 관련된 대표적인 사례는 파푸아뉴기니의 **쿠루병(Kuru disease)**입니다. 이는 인육 섭취로 인해 비정상적인 프리온 단백질이 뇌에 축적되어 발생하며, 신경학적 손상과 사망을 초래합니다.

    이는 유전적으로나 환경적으로 제한된 경우에 발생하며, 인간에게 특히 치명적입니다.

    ---

    2. 동물들의 경우: 동족 포식과 질병

    (1) 소 (광우병)

    소가 동족의 부산물(뼈나 고기)을 섭취할 경우 **광우병(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BSE)**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프리온 단백질로 인해 뇌가 스펀지처럼 구멍이 생기며, 신경계 이상 증상을 초래합니다.

    (2) 사슴 및 엘크 (만성 소모성 질환)

    사슴이나 엘크가 프리온 단백질에 감염된 동족의 조직을 섭취하면 **만성 소모성 질환(Chronic Wasting Disease, CWD)**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병은 광우병과 유사하며, 뇌와 신경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3) 가축 및 야생 동물

    많은 동물에서 동족을 먹는 것이 질병 전파의 주요 경로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이 동족 간 전파되어 개체군 전체를 위협할 수 있습니다.

    ---

    3. 동족 포식이 상대적으로 안전한 경우

    일부 동물들은 동족 포식을 하더라도 건강에 큰 영향을 받지 않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1) 곤충 및 절지동물

    곤충(예: 사마귀, 거미)이나 절지동물은 동족을 먹는 것이 자연스러운 생태 행동의 일부입니다.

    이들은 질병의 영향을 덜 받으며, 오히려 생존 전략으로 활용합니다.

    (2) 파충류 및 어류

    악어, 도마뱀, 상어 등 일부 파충류와 어류도 동족 포식을 하지만, 특별한 질병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일부 포유류

    하이에나와 같은 일부 포유류는 동족의 사체를 먹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환경적 필요에 의한 행동이며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

    결론

    동족 포식으로 인한 질병은 종마다 크게 다르며, 특히 프리온 질환과 같은 특정 질병은 고등 포유류에서 더 많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곤충이나 일부 동물들은 동족 포식을 생존 전략으로 삼아 건강에 큰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사람이나 가축처럼 생물학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경우에는 동족 포식이 매우 위험할 수 있으므로 동물에게도 주의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