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조선시대 중기와 후기로 갈수록 초기에 나타난 왕위관련한 왕족 친인척들간의 싸움이 없었던건가요?
조선시대 초기만 보더라도 왕좌의 난이 두번이나 발생했고 그러면서 이방원이 즉위를 하면서 세종의 권력의 문제가 없도록 생전에 주변정리를 사형이나 유배를 하면서 정리하는데요 그러면서 이후 문종 사후에서도 이런 왕위 다툼을 위한 수양대군이나 안평대군등 엄청난 견제와 싸움이 있었는데요.
그런데 조선 중기와 후기로 갈수록 초기에 나타난 이런 친인척들간의 싸움이 없었던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조선시대 중기와 후기로 갈수록 초기와 같이 왕권을 둘러싼 왕족 친인척 간의 유혈 충돌과 같은 무력 쿠데타 양상의 왕위 쟁탈전은 크게 즐어듭니다.
하지만 왕위 계승을 둘러싼 갈등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닙니다. 초기 왕자의 난, 계유정난으로 무력 충돌이 빈번했으며, 중기로 갈수록 왕권이 약화되고, 신권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직접적인 왕족간의 유혈 충돌보다는 신료와 외척의 협력 또는 암투, 붕당간의 정쟁을 통한 간접적 권력 이동이 주류로 자리잡게 됩니다
선조 당시 광해군의 세자 챙복 문제로 갈등잉 있었으나 정식 무력 쿠데타로 발전하는 일은 점차 드물어 졌습니다. 이는 왕위 계승 원칙이 점진적 안정, 중앙 집권 체제의 강화 등이 원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