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은 1년에 태양이 한번뜨고, 한번 진다고 하는데 뭔 말인가요?
지구는
자전축이 기울어진 관계로
북반구와 남반구가
계절에 따라 일조량이 다른 건 이해를 합니다
하지만
북극에서는
1년에 태양이 한번 뜨고, 한번 진다고 하던데
이게 맞는 말인가요?
자전축의 기울기가
백야현상이 생기는 기간에는 거의 지지않고
극야현상이 생기는 기간에는 거의 뜨지 않는 정도로 생각했는데
아예 떠있으면 안진다는 건가요?
그럼 춘분이나 추분 기간에는
그래도 뜨고 지고 할거라 생각이 드는데
정말 북극은 태양이 1년에 한번 뜨고 한번지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청렴한치타님!!! :)
그런 현상이 생기는 이유는 백야현상때문입니다! 북극에서는 봄(약 3월 20일)부터 가을(약 9월 23일)까지 태양이 지지 않고 하늘에 떠 있습니다. 이 기간 동안 하루 종일 태양이 떠 있는 현상을 백야라고 합니다. 이 기간 동안 태양은 지평선 위를 돌며, 24시간 동안 계속해서 하늘에 떠 있습니다. 반대로 가을(약 9월 23일)부터 봄(약 3월 20일)까지는 태양이 지평선 아래로 내려가며, 이 기간 동안 태양이 뜨지 않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를 극야라고 합니다. 북극에서는 이 기간 동안 계속해서 어두운 밤이 지속되는 현상을 보고 극야라고 합니다! 남극에서는 이와 정반대 현상이 생기게 되지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