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신속한갈기쥐204
신속한갈기쥐204

특이적 방어에 대해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특이적 방어 할때 병원체가 침입-> 대식세포 식균작용-> 보조T림프구 항원인식->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으로 나뉘는데! 여기서 세포성 면역으로 가게 된다면 세포만 공격하게 되고 체액성 면역으로 간다면 형질세포가 항체를 만들어 항원만 죽이는 건가요??

세포성 면역 -> 세포만 죽임

체액성 면역 -> 항원만 죽임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은 제거 대상을 기준으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고

    해당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세포인지, 세포외액에서 발견되는 항체같은 분자들인지에 따른 구분입니다.

    세포성 면역의 경우 대식세포, NK세포나 T림프구 같은 특정 세포가 직접 항원을 제거합니다.

    식세포에서 전달받은 항원결정인자에 따라 T세포 표면에 항원인식부위가 만들어지면

    T세포가 항원인 세포에 결합하여 효구를 분비하여 세포의 막을 뚫고 단백질분해효소 등을 분비해 집어넣어 표적세포를 죽입니다.

    NK세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를 찾아내서 파괴합니다. 항원 비특이적인 면역반응입니다.

    체액성 면역은 B세포가 생산한 항체가 세포 외부에서 항원을 인식하여 제거를 돕습니다.

    항체는 병원체에 붙어서 독성을 중화시키거나, 다른 면역세포가 더 쉽게 제거할수 있도록 표적이 되어줍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박사입니다. 세포성 면역(Cell-mediated immunity)은 해당 병원체를 항원으로 기억하고 있으면서 병원체의 침입이 있을 시에 식세포작용과 염증유발물질인 싸이토카인(Cytokine)을 방출하여 직접적으로 T세포가 병원체를 공격하는 면역작용을 말합니다. 체액성 면역(Humoral immunity)은 골수(Born Marrow)에서 태어나고 성숙해 이름 지어진 B세포들이 항원을 인지한 후 주로 항체라는 무기를 체액에 퍼뜨리는 방식으로 적을 물리치는 것입니다.

  • 귀하의 이해는 부분적으로 맞지만, 약간의 수정이 필요합니다.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은 모두 병원체를 제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세포성 면역은 주로 세포독성 T 림프구가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여 제거합니다. 반면 체액성 면역은 B 림프구가 형질세포로 분화하여 항체를 생성하고, 이 항체가 혈액이나 체액 내에서 순환하며 항원(병원체나 독소)에 결합하여 중화시키거나 제거를 돕습니다. 따라서 세포성 면역이 '세포만' 죽이고 체액성 면역이 '항원만' 죽인다고 단순화하기보다는, 두 시스템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여 다양한 유형의 병원체와 감염된 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한다고 이해하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 세포성 면역에서는 주로 T 세포들이 병원체나 이상세포를 직접 공격하여 제거합니다. 이들은 직접적으로 세포를 파괴하거나 감염된 세포를 파괴하는 역할을 합니다.

     면역에서는 B 세포들이 항체를 생성하여 항원과 결합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항체는 항원을 식별하고 결합하여 다른 면역 세포들이 항원을 쉽게 인식하고 제거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세포성 면역이 세포만 죽이고 체액성 면역이 항원만 죽이는 건 아닙니다. 세포성 면익이든 체액성 면역이든 둘 다 항원을 죽입니다. 다만, 세포성 면역은 세포 내의 항원을 죽이고 체액성 면역은 세포 외 항원을 타깃으로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