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빨간홍학260
빨간홍학260

지급 준비율 인상, 은행 여유자금 감소


한국은행에 돈이 적고 시중에 돈이 넘쳐날때

은행 여유자금을 감소시키고 지급 준비율을 인상한다는게 무슨 말인가요 간단하게 뜻이랑 왜 그렇게 되는지를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급준비율을 인상한다는 것은 한마디로 중앙은행에

      돈을 예치하는 것을 늘리겠다는 것으로 너무 많은 화폐를

      유통시켜 물가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이를 회수하기 위함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의 글을 찬찬히 뜯어보면..

      "한국은행에 돈이 적고 시중에 돈이 넘쳐난다"

      -> 정부가 재정확대 정책을 펼쳐서 시장에 돈을 풀어서 시장 유동성이 넘치는 상태

      를 말하는 겁니다. 과거 양적완화와 유사한 개념이라고 보시면 되구요.

      이렇듯 시장 유동성이 넘치는 상황에서는 인플레이션 우려, 화폐가치 하락 등의 부작용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이를 방지하고 치유하기 위해

      정부는 다시 시장에 있는 돈을 회수하는 정책을 펼치죠. 그것이 바로

      "은행 여유자금 감소, 지급준비율 인상"

      은행은 일반적으로 중앙은행, 예금자로부터 수신된 자금을 다시 운용(대출)하여 수익을 올리는 기관입니다.

      그런데 이 받은 돈을 100% 다 운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갑작스런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일정 수준의 buffer를 준비시켜둬야 합니다. 이를 지금준비금이라 합니다.

      이 지급준비금의 비율은 중앙은행에서 정하는데요,

      지급준비율을 인상시키면 위 buffer인 지급준비금을 더 많이 비축해둬야 하고

      결과론적으로 은행은 대출을 할 수 있는 가능 금액이 줄어드는 효과가 발생합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시장에 유동성이 과다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급준비율을 인상한다는 것은 은행이 중앙은행에 예치를 해야하는 금액을 늘려야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렇게 지급준비율이 상승하게 되면 은행은 사용할 수 있는 가용자금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에요. 예를 들어서 지급준비율이 5%라고 한다면 은행은 1천억이 있다고 하면 50억을 중앙은행에 맡겨두고 950억원은 사용할 수 있지만 지급준비율이 10%가 된다고 하면 은행은 중앙은행에 100억원을 맡겨두고 900억원만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가용자금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