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26

광해군은 정말 폭군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날에 광해군에 대한 평가가 반으로 나뉘던데 어떤 사람들은 광해군이 폭군이라고 생각하고

어떤 사람들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중립 외교를 펼친 현실적인 군주로 높이 평가하던데 어떤 것이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순수한낙타174
    순수한낙타17422.11.26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광해군이 임기 중 폐륜적인 행동을 해서 그런 이미지가 생겼습니다.

    광해군은 계모인 인목대비를 폐위하고 이복동생인 영창대군을 만8세 때 죽여 많은 비난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오랑캐로 여겼던 청나라와 중립외교를 펼치려다가 명분과 대의를 중시하는 대신들에게 가루가 되도록 까였습니다.

    그 결과 인조반정으로 물러나면서 폭군의 이미지가 부각됐습니다.

    하지만 병자호란 등을 겪으며 중립외교는 훗날 재평가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광해군은 선조의 서자로 임진왜란 당시 의주로 피난간 선조 대신에 분조라하여 왜란을 극복하고 민심을 수습하는데 큰 공을 세웠습니다. 함께 활약한 이들이 북인이라 광해군 정권은 북인정권으로 불립니다.

    광해군은 정통성에 한계가 있었고, 선조는 끝까지 광해군을 지지하지 않고 뒤늦게 태어난 어린 영창대군을 좋아했지요. 왜란이라는 특수성이 없었다면 영창대군이 왕위를 이었을지 모릅니다. 여하간에 광해군이 즉위하게 되었고 광해군과 북인은 조급함을 드러내는데, 인목대비를 폐위시키고 적자인 영창대군을 죽이는 우를 범합니다. 역모를 대비한 것이지만, 나중에 인조반정의 명분을 제공하게 되지요. 폐모살제라고 합니다.

    광하군은 중립외교로 높이 평가받았고, 대동법도 높이 평가받았습니다. 하지만 중립외교 또한 조선을 구해준 재조지은이라하여 명의 은혜를 저버린 것으로 이 역시 반정의 빌미를 줍니다. 북인은 정권을 독점했응셔 북인 내 소붕당 사이 당쟁이 격화되었는데, 이는 나머지 붕당 즉 서인과 남인의 반정의 동기를 제공했습니다.

    광해군에 대한 오늘날 학계의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인 편입니다. 인조반정 후 외교정책이 친명배금정책으로 일관되는데, 이로써 조선은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의 외침과 삼전도의 굴욕을 당하지요. 이런 면에서 중립외교는 특히 높은 평가를 받는데, 명분도 지키지만 실리와 국익을 우선시한 정책이라고 평가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