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성실한따오기76
성실한따오기76

물고기는 소리를 어떻게 느끼는 건가요?

물고기한테는 청각기관이 없는 걸로 아는데요, 낚시를 하러 가서는 너무 시끄럽게 떠들면 물고기가 도망간다고 하더라고요.

물고기는 소리를 어떻게 느낄 수 있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물고기는 사람과 같은 형태의 청각 기관은 없지만, 수중에서 소리를 감지하는 특별한 방식이 있습니다. 물고기는 몸 전체에 분포된 측선 기관을 통해 소리와 물의 진동을 감지합니다. 이 측선은 물의 압력 변화나 진동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주변 환경과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얻습니다. 이 때문에 낚시터에서 큰 소리를 내면 물고기가 경계하게 되어 멀어질 수 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물고기는 우리와 같은 외이와 중이를 갖고 있지는 않지만, 특별한 방법으로 소리를 감지합니다. 물고기의 몸에 있는 측선이라는 감각 기관이 수중의 미세한 물리적 변화를 감지하여 소리를 느낄 수 있게 합니다. 뿐만 아니라, 물고기 내부에는 유모세포로 이루어진 내이구조가 있어서 수중 진동을 통해 소리를 탐지합니다. 낚시할 때 시끄럽게 떠들면 소리의 진동이 물을 통해 전해져 물고기가 이를 감지하고 경계하게 됩니다.

  • 물고기는 귀는 없지만 신경절이라는 부위가 있어서 물의 진동과 파동을 느낄 수 있어요.

    물의 흔들림을 감각으로 느끼는건데요.

    물고기들끼리 서로 의사 소통을 하기 위해서 물의 진동을 만들어서 상대방이 알아차리게 한다고 하네요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물고기는 소리보다는 소리에 의한 파동 즉 진동을 느낄수 있습니다. 그래서 알수없는 진동을 느끼면 위협이 된다고 느끼고 도망가는거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물고기는 주로 진동을 통해 주변 환경을 감지합니다. 그들은 물 속에서 소리를 듣고 이를 이용하여 위험을 피하거나 먹이를 찾는 등의 행동을 합니다. 그러나 사람들이 경험하는 것처럼 정확히 소리를 '들을'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물고기에게는 인간처럼 귀가 없지만, 측선이라는 청각기관을 가지고 있어 주변의 진동을 느낄 수 있습니다. 측선은 물고기 몸통 양쪽에 늘어져 있으며, 주변 물의 진동을 감지하여 소리를 인지합니다. 따라서 낚시할 때 시끄럽게 떠들면 물고기가 측선으로 진동을 느껴 위험을 감지하고 도망갈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