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핑크내복 빵구났써요 하이187
핑크내복 빵구났써요 하이187

생수통을 보면 물에 의해서 뒷부분이 확대되어서 보이는데요. 이것도 결국 빛의 굴절떄문인가요?? 빛이라는 가시광선이 굴절되어서

생수통을 보면 물에 의해서 뒷부분이 확대되어서 보이는데요. 이것도 결국 빛의 굴절떄문인가요?? 빛이라는 가시광선이 굴절되는거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빛에는 전자기장이 있는데요. 그중에 가시광선이 있습니다. 이 빛이흡수되거나 반사되면서 그 빛을 눈을 보고 확대 되거나 색을 보거나 합니다. 그런데 생수병을 보면 빛이 프라스틱통과 물에 의해서 굴절되면서 볼록렌즈처럼 확대되어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생수통 뒤가 확대되어 보이는 것은물과 플라스틱이 빛의 진행 방향을 꺾는 굴절 현상 때문입니다 가시광선이 공기에서 물로 들어가면 속도가 느려지고 경로가 꺾이며 곡면 구조로 인해 돋보기처럼 확대 효과가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빛의 굴절 때문에 생기는 것이며 생수통은 둥근 볼록렌즈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빛이 공기에서 물로 들어갈 때 물의 굴절률로 인해 경로가 꺾이게 되어 뒤쪽 물체 모습이 확대되어 보이게 됩니다.

    또한 생수통의 모양에 따라 확대 및 반전 다양한 시각적 효과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생수통 뒤쪽이 확대되어 보이는 것은 빛의 굴절 때문입니다. 물과 플라스틱은 공기와 비교해서 빛이 통과할 때 속도가 달라지는데, 이때 빛이 꺾이는 현상을 굴절이라고 합니다. 생수통처럼 곡면 모양의 투명한 용기 안에 물이 차 있으면, 렌즈처럼 작용해서 빛의 경로가 바뀌고 뒤쪽 물체가 실제보다 크게 보이게 되는것 입니다. 쉽게 말하면 돋보기 원리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화 전문가입니다.

    생수통 너머에서 사물이 확대보인다는 것은 물과 플라스틱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빛이 굴절되기 때문으로 생각됩니다. 빛 자체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진 매질을 지날 때는 경로가 꺾이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것이 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죠. 안경도 그 원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승우 전문가입니다.

    생수통 뒤쪽이 확대되어 보이는 것은 빛(가시광선)의 굴절 때문이 맞습니다. 빛은 서로 다른 매질을 지날 때 속도 변화에 의해 진행 방향이 꺾이는 굴절 현상이 발생합니다. 생수통의 둥근 표면은 볼록렌즈와 비슷한 역할을 하고 빛은 모아 상을 확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플라스틱과 물의 굴절률은 공기보다 크고 이런 굴절률 차이로 인해 빛이 꺾이면서 페트병 뒤의 상이 확대되고 왜곡되어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빛의 굴절 때문입니다. 빛이 공기와 물 사이를 통과하면서 굴절되어서 보는 위치와 각도에 따라 물체가 실제보다 더 크게 보이거나 위치가 달라집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문가입니다.

    물체가 확대되어 보이는 현상의 경우 이는 빛의 굴절에 의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은 물리시간에 배운 빛의 굴절로 인해 경로가 꺾이면서 이러한 굴절된 빛이 눈으로 들어오게 되면 이는 더 큰 위치에서 오는 것으로 착각을 일으키게 보이는 것입니다. 이는 결국 볼록렌즈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볼록렌즈의 경우 물체를 더욱 크게 보이게 한다는 것이 주요한 특징이 될 수 있슷ㅂ니다. 다만 가시광선으로 인해 굴절이 일어난다는 것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