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3.10.23

소리 증폭기의 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깔대기 같은 것을 들고 있으면 그 곳의 소리를 캐치하여 크게 들려주는 소리 증폭기라는 과학실험 도구가 있는데요.

이게 어떤 원리로 작은 소리를 크게 잡아주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리는 wave로 표현이 되는데요... 이게 같은 파동이 두개가 합쳐지면 크기가 두배로 커지구요... 역상의 파동이 곂쳐지면 소리가 없어져 버립니다. 이게 소리의 특성이죠.

    (보강 상쇄 간섭이라고... 물리시간에 배우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서, 소리가 벽이나 반사판에 튀게 만들고, 반사된 wave가 보강간섭이 나게 만들어서 소라

    리를 증폭하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깔대기 소리 증폭기는 소리의 간섭 원리를 이용하여 작은 소리를 크게 들려줍니다. 소리는 공기 중에서 진동하는 파동입니다. 소리의 간섭이란, 두 개의 소리 파동이 서로 겹쳐서 더해지거나 빼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깔대기 소리 증폭기는 깔대기의 넓은 입구가 소리를 모아서 좁은 출구로 전달합니다. 이때, 소리 파동은 깔대기의 벽에 부딪히면서 반사되어 다시 출구로 향합니다. 이렇게 반사된 소리 파동은 출구에서 서로 겹쳐서 더해지게 됩니다. 따라서, 깔대기 소리 증폭기를 통해 들리는 소리는 원래의 소리보다 더 커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소리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며, 마이크의 진동막은 소리의 진폭을 전기 신호로 변환합니다.

    그리고 이 전기 신호는 증폭기를 통과하면서 신호 크기가 커지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증폭된 전기 신호는 다시 음향 신호로 변환되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것입니다.

    즉, 소리 증폭기는 소리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이 전기 신호를 증폭한 후 다시 음향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사실상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볼륨의 역할도 이런 형태인데, 볼륨은 증폭기의 신호를 조절하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입력 신호 감지: 소리 증폭기는 입력으로 들어오는 소리 신호를 감지합니다. 이 신호는 주로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됩니다.

    2. 신호 증폭: 감지된 소리 신호는 증폭기의 내부 회로를 통해 증폭됩니다. 이 회로에는 전압 증폭기, 전류 증폭기, 또는 전압과 전류 모두를 증폭하는 혼합형 증폭기 등 다양한 유형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출력 신호 전달: 증폭된 신호는 출력 스피커나 오디오 장치로 전달됩니다. 이를 통해 크기가 증폭된 소리가 재생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