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소아청소년과

날렵한코끼리26
날렵한코끼리26

잘면서 깜짝 잘놀라는 15개월아기요

성별
남성
나이대
1

얼마전부터 잘때 마다 정말 너무 깜짝놀래요

낮잠 밤잠 할꺼없이 계속놀랍니다.

꼭 높은데서 떨어지는 꿈같은거 꿔서 깜짝놀래는거 처럼 놀래요 경련? 같이 놀라는데 괜찮은걸까요? 어린이집에서 낮잠자는데 선생님도 너무 잘놀랜다고 이야기를 하셔서 걱정이 되네요; 인터넷에서 보면 성장중이라 그렇다고 하는데 그렇다고하기엔 한번 잘때 놀래는 횟수도 많고 심하게 놀라네요 ㅜ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아기가 잠을 잘 때 깜짝 놀라는 모습을 보면 걱정이 많이 되실 것 같아요. 이러한 현상은 아기들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인데요. 아기들은 성인이 아닌 만큼 그들의 신경계가 아직 완전히 성숙하지 않아 수면 중에 가벼운 경련을 경험할 수 있어요. 이를 미오크로니아라고 부르는데, 이런 경우 특별한 문제를 의미하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그러나, 아기의 수면 중에 깜짝 놀라는 것이 너무 자주 발생하거나, 경련이 심하다면 병원에서 한 번 더 자세히 확인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아기는 감각과 운동 발달 단계에 따라 다양한 반응을 보일 수 있어요. 어린이집 선생님과도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아기의 상태를 관찰하고, 필요하다면 소아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아기의 상태를 좀 더 정확하게 확인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아기의 건강과 안녕을 위해 각별히 신경 써 주셔야 한다는 점 이해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15개월 아기가 잘 때 자주 깜짝 놀라는 증상은 꽤 일반적일 수 있지만, 아기가 너무 자주 놀라거나 심하게 반응한다면 부모님 입장에서는 걱정이 될 수 있습니다. 아기가 잘 때 느끼는 깜짝 놀람은 "수면 경련"이나 "수면 스타트"라고 불리는 현상일 수 있으며, 이는 아기가 자는 동안 뇌와 몸이 불안정하게 반응하는 자연스러운 과정일 수 있습니다. 이 시기는 뇌가 발달하고 신경 시스템이 점점 성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대개는 성장의 일환으로 나타납니다.

    그러나 너무 자주, 너무 심하게 놀라는 경우는 일부 아기에게 수면 장애나 불안감이 있을 수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아기가 잘 때의 이 반응은 보통 일시적이며 자연스럽게 사라지기도 하지만, 만약 아기가 잘 때 많이 깨고, 지속적으로 깜짝 놀라거나 심하게 경련처럼 반응한다면, 이는 다른 원인일 수도 있어요. 예를 들어, 스트레스, 불안, 또는 너무 과도한 자극으로 인한 현상일 수 있죠

    어린이집에서 선생님이 언급한 것처럼 아기가 낮잠 중에도 자주 깜짝 놀란다면, 일상에서 아기의 환경이나 수면 패턴을 점검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아기가 충분히 편안한 환경에서 잠을 자는지, 과도한 소음이나 스트레스가 없는지 살펴보고, 필요시 소아과에서 상담을 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의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15개월 아기가 자면서 깜짝 놀라는 현상을 관찰하셨군요. 이런 현상은 종종 어린 아이들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일입니다. 이 나이대의 아기들은 수면 주기가 어른들과는 다소 다르게 작용하기 때문에, 성장 과정에서 여러 가지 이유로 잠결에 놀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질문자분 이야기처럼 아기가 자면서 너무 자주 깜짝 놀라고, 그 강도도 상당히 크다고 느껴질 때는 몇 가지를 고려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아기의 수면 중 놀라는 반응이 단순히 성장과정의 일부라면, 금방 개선될 가능성이 많습니다. 하지만 자다가 너무 심하게 또는 빈번하게 놀란다면, 다른 징후들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깨어 있을 때 아이의 행동이나 발달 수준에 이상이 있는지, 또는 낮에도 갑작스러운 경련 같은 움직임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어린이집 선생님이 놀랄 정도로 빈번하게 반응을 보인다면, 혹시 모를 다른 원인이 있는지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가정에서 혹은 어린이집 환경에서의 변화나 스트레스도 아기에게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수면 환경을 최대한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만들어 주고, 잠들기 전에는 아이가 충분히 안정된 상태인지 한번 더 확인해주세요.

    만약 이런 방법으로도 아기의 놀라는 증상이 가라앉지 않거나 더 심해진다면 병원에서 전문의와 상담을 받아 보다 구체적인 상태를 점검해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