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고결한게244
고결한게244

바닷가에서 일출을 볼 때 오메가 현상은 어떻게 해서 생기나요,

일출을 보러 바다에 갔다가 해가 바다 위로 떠 오르면서 오메가 형태로 보였습니다. 바닷물이 함께 빨려 올라가는 느낌. 참 좋았습니다. 그 이후로 한번도 보지 못했는데 오메가 현상은 왜 생기나요? 어떤 날에가면 볼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오메가현상은 빛의 굴절 및 산란이 극대화되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해가 지기 직전에 잘 발생하고 날씨가 맑을때 더 관측하기 쉽습니다.

      감사합니다.

    • 오메가 현상은 빛의 굴절 현상 중 하나입니다.

      오메가 현상은 자주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고 꽤 까다로운 조건이 필요합니다.

      1. 태양을 보는 눈의 각도가 비스듬해야하고, 탁 트인 공간이어야 됩니다.

      2. 구름이나 안개가 있으면 관측이 힘듭니다.

      3. 아침이나 해가 지는 저녁에 역전층이 생겨야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역전층이란 아래의 공기가 급속히 차가워져 상층 공기가 상대적으로 따뜻해지는 현상입니다.

      참고로 대기는 원래 위로 갈수록 온도가 낮아집니다.

    • 오메가 현상은 일출이나 일몰을 바다에서 관찰할 때, 물결과 태양 빛이 만나면서 생기는 현상으로, 바닷물이 해안으로 향해 서서히 흐르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파도 모양을 만듭니다. 이때 태양 빛이 바닷물에서 반사되어 물결의 파도 모양에 따라 태양 빛이 굴절되면서 오메가 형태로 보입니다. 이러한 오메가 현상은 파도 모양이 규칙적일 때 더욱 잘 보이며, 해수면이 매우 맑은 날씨에 관찰하기 좋습니다. 그러나 오메가 현상은 일출이나 일몰 때마다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파도 모양과 태양 빛 반사 각도 등 여러 조건이 만족해야만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