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게모니라는 말의 어원과 그 의미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미중대립에 대한 기사를 보다가 보니 헤게모니라는 말이 나오더라구요. 문맥상 대충 어떤것이겠다 이해는 가는데 자세히는 모르겠는데요. 헤게모니라는 말의 어원과 그 정확한 의미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가장 통상적인 의미에서 한 집단·국가·문화가 다른 집단·국가·문화를 지배하는 것을 이르는 말.
본문
사전적인 의미는 한 나라의 연맹제국에 대한 지배권, 맹주권, 패권(覇權)을 말한다. 오늘날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한 집단·국가·문화가 다른 집단·국가·문화를 지배하는 것을 가리킨다. 20세기가 시작된 이래 특히 미국과 같은 초강대국의 활동과 관련하여 이 용어는 정치적 지배라는 함의(含意)를 지니게 되었다.
출처 : 두산백과
통상 지배권이라 이해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쉽게 풀어쓰면 패권. 사전적인 뜻은 어떠한 일을 주도할 수 있는 권력 또는 권한. 현재는 특정 국가가 다른 국가를 지배하여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개념으로 통용됩니다.
그리스어 ἡγεμονία(hegemonia, 권위/지배)가 어원이며, 이탈리아의 마르크스주의 사상가인 안토니오 그람시(Antonio Gramsci)가『옥중수고(Quaderni del carcere)』에 쓰면서 유명해졌습니다.
헤게모니 대신 국어사전에서는 '주도권'으로 순화할 것을 권장합니다.그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헤게모니는 헤게몬(hegemon)이란 직위에서 유래했다. 알렉산더 대왕의 아버지 필리포스 2세가 마케도니아의 군대를 앞세워서 그리스를 정벌한 이후, 고대 그리스 도시국가들을 모아서 코린토스 동맹을 구성하는데, 그 수장의 직위명이 헤게몬이다. 쉽게 짐작 할 수 있듯이 헤게몬은 마케도니아의 국왕이 맡았다. 필리포스 2세의 사후에 그 아들 알렉산더가 먼저했던 일련의 행위 중 하나도 바로 이 헤게몬 자리를 지켜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서 그는 군대를 재빠르게 기동해서 반란의 조짐이 보이던 테베의 성문앞에 기습적으로 나타난다.
이렇듯 헤게모니(hegemony)라는 단어는 이전부터 존재했었으나 집단의 우두머리라는 기본적인 의미 이상의 의미는 없었다. 원래 19세기 후반 러시아 사회주의 운동 내에서 사용되기 시작해서 좌파 운동 내에서 간헐적으로 사용했다. 사용 계기는 서유럽의 자본주의 발전과 상이한 발전 경로를 보이는 러시아의 정치적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서 였다.
학술적으로는 그람시가 『옥중수고』에서 이론적 배경을 정립하고 1940년대 출판된 후, 특히 1960년대의 서구 마르크스주의가 발흥하면서부터 다양한 의미를 부여하고 사용하기 시작했다.[2]
그람시는 이 개념을 통해 선진화 한 서구권의 자본주의 국가에서 사회주의 혁명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고자 했다. 그람시 이전까지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는 지배자의 일방적인 억압에 의한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그런 생각과는 달리 피지배계층의 반발은 한정적인 것이었고, 이를 설명하기 위해 피지배 계층이 지배 계층의 권력에 동의한다는 발상을 헤게모니라는 개념을 통해 압축해서 표현했다.
그에 따르면 헤게모니란 그 사회의 지배적인 사고를 가리킨다. 이에 맞춰서 개인들은 그에 복종하는 법을 배우게 되는데, 이를 위해 지배 계층은 자신들의 주도권을 계속해서 쥐기 위해서 문화적 영역 전반을 쥐고 헤게모니에 반대하는 사고를 검열한다.
그람시는 이에 대항하려면 그들에게서 그들의 문화적인 지배에 반대하는 새로운 문화적인 틀을 만들어내야 한다고 보았다. 이 헤게모니 개념을 통해 이전까지 게릴라 운동과 폭력 투쟁으로 점철되어 있던 좌파 운동은 이에 대항하기 위한 진지를 구축하는 것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국면의 전환점을 맞게 된다. 단순히 제도권을 폭력적으로 강탈하는 것이 아니라 헤게모니를 쥐기 위한 문화적인 투쟁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출처: 나무위키 헤게모니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헤게모니(hegemony)라는 단어는 이전부터 존재했었으나 집단의 우두머리라는 기본적인 의미 이상의 의미는 없었다. 원래 19세기 후반 러시아 사회주의 운동 내에서 사용되기
시작해서 좌파 운동 내에서 간헐적으로
사용했다. 사용 계기는 서유럽의 자본주의
발전과 상이한 발전 경로를 보이는 러시아의 정치적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서 였다.
헤게모니라는 말은 크고 작은 사회 단위에서 사용됩니다.
국제 질서를 논할 때에도 자주 쓰입니다. 이 단어는 ‘우두머리’라는 희랍어 ‘헤게몬’에서 나왔으며, 헤게몬은 고대 그리스에서 스파르타처럼 다른 도시국가를 압도하는 강력한 도시국가를 일컬었다고 합니다.
헤게모니는 1880년대 러시아의 맑스주의자들에 의해서 재사용되면서 ‘주도권을 행사하는 것’이라는 뜻으로 쓰였습니다. 당시 러시아 혁명운동에서 가장 중요한 정치적 슬로건 중 하나였습니다. 다른 정치계급이 무능력하기 때문에 노동계급이 독립적이고 주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며 프롤레타리아의 주도성을 제시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헤게모니는 어떠한 일을 주도할 수 있는 권력 또는 권한으로 현재는 특정 국가가 다른 국가를 지배하여 영향력을 행사하는 개념으로 통용됩니다.
그리스어의 권위, 지배를 뜻하는 단어가 어원으로 이탈리아의 마르크스주의 사상가인 안토니오 그람시가 '옥중수고'에 쓰면서 유명해졌습니다.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사전적인 의미는 한 나라의 연맹제국에 대한 지배권, 맹주권, 패권(覇權)을 말합니다.
오늘날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한 집단·국가·문화가 다른 집단·국가·문화를 지배하는 것을 가리킵니다.
20세기가 시작된 이래 특히 미국과 같은 초강대국의 활동과 관련하여 이 용어는 정치적 지배라는 함의(含意)를 지니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헤게모니(Hegemony)는 그리스어로 "지도권"이라는 뜻입니다. 국제정치학에서는 대국 간의 군사적, 경제적, 정치적 충돌에서 하나의 국가가 다른 국가들보다 우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헤게모니는 대개 강대국이 약대국에 대해 행하는 지배와 관련된 용어로 쓰이며, 고대 그리스의 스파르타와 아테네 경쟁과 같이 작은 도시국가들의 경쟁에서도 사용되었습니다.
전 세계의 국가들은 군사,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서로 경쟁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하나의 국가가 다른 국가들보다 더 강력하게 대세를 잡고 있는 상황을 헤게모니라고 합니다. 대표적인 예로는 미국의 세계적인 헤게모니 지위가 있습니다.
최근 미중 간의 대립에서도 이 용어가 자주 언급되는데, 미국과 중국은 경제, 군사,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서로 경쟁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한쪽이 더 강력한 지위를 차지하게 된다면, 이를 헤게모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