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의 신용상태는 등급인가요?
개인의 신용상태를 등급으로 매기나요?
점수로 매기나요?
신용점수 758이고 상위 76%라는 말은 100명중 76위 라는 뜻인가요?
그렇다면 매우 낮은 신용상태 겠네요?
안녕하세요. 전수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인신용등급은 CB(Credit Bureau)개인신용평가사에서 개인의 여러가지 신용정보를 수집하여 등급으로 1등급에서 10등급까지 분류하고 점수로는 1~1000점까지를 부여하게 됩니다.
연체유무, 금액, 기간 , 다중채무등을 종합하여 정해지게 됩니다.
758점이면 KCB코리아크레딧뷰로기준 5등급(698~767점)에 해당되며
NICE신용평가정보기준도 5등급(750~804점)에 해당됩니다.
올크레딧 기준으로 1등급~3등급(1000점~832점)은 우량신용자로 보며
그이하 697점까지는 6등급으로 보통신용자, 그이하로는 저신용자로 봅니다.
2021년 이후에는 은행, 신용카드 금융투자회사등 전 금융권에서 등급제보다 더 효율적인 신용점수제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나이스평가정보에서는 900점이상의 고신용자가 전체의 40%에 이르는 1900만명이상이 되는등 신용점수 '뻥튀기' 현상이 있어서 은행들은 신용점수보다 내부 신용등급에 더 큰 가중치를 두고 있으므로 본인에게 잘 맞는 은행을 선택하여 은행 내부신용등급에 신경쓰시는 것도 좋을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은행 재직 중으로 해당 질문에 대해서 답변 드리도록 할게요
개인의 신용상태는 현재 '점수'로 분류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질문자님의 예시대로 상위 76%라고 한다면 해당 점수는 100명 중의 76위에 속하는 신용점수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으로서 신용상태가 좋은 상태라고 보기는 힘듭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인의 신용상태를 평가할 때, 일반적으로 등급과 점수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합니다.
등급으로 평가할 경우, 대출 신청자의 신용상태를 좋음, 보통, 나쁨 등의 등급으로 매기는 방법을 말합니다. 이 등급은 각각의 신용평가회사나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것이 다를 수 있습니다.
점수로 평가할 경우, 대출 신청자의 신용상태를 숫자로 나타낸 것으로, 보통 300~850점 사이의 범위를 가집니다. 높은 점수일수록 신용상태가 좋은 것이며, 일반적으로 700점 이상이면 좋은 신용상태로 평가됩니다.
신용점수 758은 상당히 높은 점수로, 대부분의 금융기관에서는 좋은 신용상태로 평가됩니다. 상위 76%라는 말은 해당 신용점수가 전체 대출 신청자 중에서 76% 이상의 신용점수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매우 낮은 신용상태가 아니라 좋은 신용상태에 해당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021년 1월 1일부터 정부는 신용등급(1~10등급)에 따라 획일적으로 대출을 거절하던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신용점수제(1~1,000점)를 도입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취지는 금융권 신용위험 관리역량 제고, 금융회사별 리스크 전략, 금융소비자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하여, 저신용층의 금융접근성 제고하기 위해서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말씀하신대로 상위 76%는 100명중에 76등이라는 뜻이 맞으며, 신용점수가 높은 편은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신용점수의 상향을 위하여는 대출을 줄이거나, 신용카드를 꾸준히 갚는 등의 방법이 있는 점 참고부탁드립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하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예전에는 등급이었는데, 지금은 점수제로 바뀌었습니다. (신용점수) 물론 기업의 신용평가등급의 경우는 여전히 등급제를 사용하죠.
- - -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눌러주시고,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개인의 신용상태는 일반적으로 신용등급이라는 형태로 매겨집니다. 대출 등급, 신용카드 등급 등이 있으며, 이는 대출상환 이력, 연체 여부, 신용카드 사용 이력, 총 신용 한도 대비 사용 금액 등을 고려하여 매겨집니다.
한편, 개인의 신용상태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신용점수입니다. 신용점수는 주로 300점에서 850점까지 측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신용점수가 높을수록 개인의 신용상태가 좋다고 간주됩니다. 신용점수는 대출, 신용카드 사용 등 개인의 신용 이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산출됩니다.
마지막으로, "상위 76%"라는 말은 해당 분야에서 평가 대상자 중 상위 24%보다는 낮지만 상위 76%라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신용점수 758이 상위 76%에 해당한다면, 대체로 좋은 신용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하지만, 각각의 신용 등급이나 신용 점수 평가 척도마다 다르므로, 해당 척도의 기준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세한 평가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해당 신용 등급 또는 신용 점수 평가 척도의 기준을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