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미술 이미지
미술학문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3.05.14

우리나라의 수묵화는 언제 창시된건가요?

옛 조상들의 그림중에 수묵화를 보면 먹으로만 그린 그림인데도 참 무게감이 느껴지고 검은색과 흰색만의 조화가 참으로 멋진데요. 수묵화는 언제 시작된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수묵은 중국에서 기원하였습니다. 도교적 회화를 사의적(형태보다 정신에 치중하여 그리는 것) 표현으로 전환시키는데 선구적 역할을 한 당나라의 오도자가 수묵화법으로 산수화를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이 후 시인이자 화가인 왕유(王維, 699~759)로부터 본격적으로 활성화되었는데 그는 주로 松, 竹, 梅, 石의 산수를 그렸고 그의 산수화를 추종하는 남종화의 시조가 되었습니다.

    고려시대에 수묵화가 전해진 것으로 알려졌으나 발견된 작품은 거의 없고, 조선 시대에는 주류 미술로 자리잡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수묵화는 중국의 주대 말기부터 시작되어 우리나라는 고려시대부터 수묵화가 전래되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의 주대 말기부터 시작된 수묵화 기법은, 먹선만을 사용하여 그린 백묘화에서 출발하여 먹의 농담을 이용한 파묵, 먹물이 번져 퍼지게 하는 발묵 기법 등으로 발전했다. 먹색만으로 모든 색채의 효과를 나타내는 수묵화의 주요 소재는 산수·인물·수석·화조·영모·사군자 등이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