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눈치빠른 거북이
눈치빠른 거북이24.03.20

조선시대도 여자 관직이 있었나요?

조선시대 사극이나 드라마를 보다 보면 왕이 있고 그 밑에 신하들이 있는데 관직들 중에는 여자가 한 명도 보이지 않던데 조선시대에도 여자 관직이 있었나요 아니면 없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여성이 관직에 나아가는 것이 불가능했습니다. 조선은 철저한 유교 국가로, 남성 중심의 가부장제가 강하게 작동했습니다. 여성은 가정 내에서 남편을 따르고 자녀를 양육하는 역할을 맡았으며, 사회적 활동에 제약이 많았습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여성이 관직에 나가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웠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여자들에게 허락 된 관직은 상궁 입니다. 상궁(尙宮)은 정5품의 직책을 말하며 승은을 받지 못한 궁녀들이 오를 수 있는 최고의 위치였습니다. 드라마에서는 정 5품부터 종 6 품까지의 품계를 모두 뭉뚱그려 상궁이라고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은 성리학의 나라였습니다. 유교를

    기반으로. 한 나라에서 여성들은 관직에

    나갈수 없었습니다. 정치에도 관여하면 안되었습니다. 하지만 대리청정 등으로 왕이 너무 어리면

    대신 왕후가 정치를 했던 예는 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여자들은 집안에서 살림을 하기에도 벅찬 나날을 보내며 생활하였으며

    여성이 진출한 관직은 궁궐내에서 궁녀로 관직을 얻을수 있는 것이 전부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조정이나 어전에서 회의에 참석할 수 있는 관직에는 여자는 등용되지 않았으나 품계는 내명부에도 존재했습니다. 무품으로 최상위계층으로 왕비와 대비 공주 옹주 등이 있었으나 후궁부터 상궁 그리고 궁녀에 이르기까지 정1품에서 종9품까지 존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