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기쁜향고래의 노래
기쁜향고래의 노래

우리나라에서 봉수대를 통신 수단으로 사용한 것은 언제부터 일까요?

고려 초기 가란과의 전쟁을 배경으로 하는 드라마에서 양규 장군이 승리를 알리기 위해 봉화를 피우는 내용이 나오는데요, 우리나라에서 봉수대를 통신 수단으로 사용한 것은 언제부터 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수줍게웃는타킨108
    수줍게웃는타킨108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역사학자들은 봉수를 군사 목적으로 사용한 것은 고려시대 때부터였다고 추정하고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 봉화 제도가 도입된 것은 정확하지 않으며,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봉화 관련 기록이 나와 그때부터 봉화의 체계가 존재했으리라 추정하고 있을 뿐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 봉화제도가 도입된 것은 정확하지 않으며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봉화관련 기록이 나와 그때부터 봉화의 체계가 존재했으리라 추정합니다.

    삼국시대 봉화는 전북 장수군, 완주군 등지의 전북 동부지역에 분포하는 가야의 봉화대가있습니다. 이런 봉수대들의 존재는 전북가야 또는 장수가야라 하는 전북지역에 존재했던 가야를 상정하는 근거가 되는데 이 전북 동부 지역 봉수대 유적에서 가야 토기가 출토, 고려 이후 수도가 중부 서해안 지방에 자리잡았는데 이 전북 동부지역은 고려나 조선이 봉수대로 사용하지 않던 경로이므로 고려나 조선의 봉수대가 아닌 가야의 봉수대임을 알수있습니다.

    이런 대가야 봉수대는 경북 내륙 고령군 중심지였던 대가야가 중국, 일본 등 외부와 교류하기 위해 필요했던 섬진강 교역로를 지키기 위해 만든 것으로 여겨지며 삼국시대 여러 산성이나 소형 보루들은 잠시 사용이 중단되다 고려시대나 조선시대 들어 봉화대로 재활용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정부차원에서 폐성이된 삼국시대, 고려시대의 산성들을 파악하고 있었고 봉화대를 지을 경제적 효율 및 전략적 가치를 고려해 기존의 삼국시대 성곽을 활용합니다.

    봉화가 체계적으로 정비되는 것은 고려 의종때부터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