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마다 이체한도가 다르른데요... 그럴 때 OTP를 발급해서 이체한도를 올리는 데.. 이 때 OTP라는 건 언제 어떤 이유로 생긴 걸까요/
은행마다 이체한도가 다르른데요... 그럴 때 OTP를 발급해서 이체한도를 올리는 데.. 이 때 OTP라는 건 언제 어떤 이유로 생긴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보보안때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급격한 인터넷 시대가 되면서 금융시스템 또한 발전하였는데
문제가 해킹을 하여 개인정보를 꺼내 돈을 인출하는 사례들이 나오고 그것을 이용하여 다른 사람에게 팔거나 협박하는 등 사회적 이슈들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otp라는 제도를 통해 한번 더 인증을 하는 것으로 진행한 것이죠.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OTP(One-Time Password)는 일회용 비밀번호로, 금융 거래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도입된 인증 방식입니다. OTP는 고정된 비밀번호 대신 매번 새로운 비밀번호를 생성해 사용하는데, 이를 통해 비밀번호 도용이나 해킹 같은 보안 위협을 줄일 수 있어요. OTP가 본격적으로 도입된 이유와 시점은 인터넷 뱅킹과 모바일 뱅킹이 활성화되면서부터입니다.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 온라인 금융 거래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해킹, 피싱, 스미싱 등 금융 범죄가 증가하기 시작했어요. 당시에는 고정된 비밀번호와 공인인증서만 사용했지만, 이것만으로는 보안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죠. 특히, 고정 비밀번호는 유출되면 쉽게 악용될 위험이 있었어요. 이러한 상황에서 2000년대 초반에 OTP가 금융권에 도입되기 시작했으며, 한국에서는 인터넷 뱅킹 이용률이 급증한 시점인 2004년경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어요.
OTP는 생성기(토큰)나 스마트폰 앱을 통해 매번 새로운 숫자를 생성하며, 이 번호는 일정 시간 동안만 유효해요. 이는 금융 거래 과정에서 인증 단계를 강화해 고객의 자금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특히, 이체 한도를 높이거나 대규모 거래를 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이는 보안 강화를 위해 은행이 요구하는 방식입니다.
결론적으로, OTP는 금융 거래의 안전성을 높이고 고객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온라인 금융 서비스가 활성화되던 시기에 등장한 기술로, 지금도 중요한 보안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2008년 개정된 전자금융감독규정에 의해 OTP는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 텔레뱅킹 등 전자금융거래시 보안카드를 대체하는 1등급 보안매체로 지정되었는데요. 무작위 번호약속 알고리즘에 따라 매 시간마다 변경되는 추정 할 수 없는 비밀번호 생성을 이용하는 보안 시스템으로 보다 강화된 보안방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