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수요일
수요일

얼음은 왜 물에뜨는지 궁금합니다.왜

남극이나 북극에는. 아주 큰 빙하가 떠다닌다고 하는데

빙하는 얼청나게 큰얼음이라고 할수있는데 어떻게 해서

물에 가라앉지않고 떠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일반적으로 고체가 액체에 비해 밀도가 크지만, 물은 수소결합에 의해 특이하게 얼음으로 변할때 더 부피가 커집니다 (= 밀도가 낮아짐)

    즉, 얼음이 물보다 가볍기 때문에 빙하는 물에 뜨게 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얼음이 물에 뜨는 이유는 밀도 차이 때문입니다. 물이 얼어붙을 때, 물 분자들이 결정 구조를 형성하면서 분자가 더 멀리 떨어지게 되어 부피가 늘어납니다. 이로 인해 얼음의 밀도는 물보다 낮아집니다. 물질은 밀도가 낮을수록 같은 양의 부피에 가벼워지므로, 얼음은 물에 비해 더 가벼워서 뜨게 됩니다. 남극과 북극의 빙하 또한 이 원리로 인해 바다 위에 떠 있으며, 수면 위로 올라와 있는 부분은 전체 부피의 약 10%에 불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