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01

무역 거래 대금은 무조건 달러 인가요??

안녕하세요 요즘 무역에 대해 관심이 있습니다

외국과 무역을 하게되면 거래 수단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고, 거래하는 돈은 달러로만 하는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홍유영 관세사blue-check
    홍유영 관세사23.02.02

    일반적으로 무역통화란 무역거래시의 결제에 사용되는 결제통화(Currency of Settlement)를 말합니다. 세계 각국에서는 무역결제에 사용하는 통화를 지정하여 사용하는데, 현재는 기축통화인 미국 달러화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특정통화가 무역의 결제통화로 사용되려면 환율의 변동성이 크지 않고, 유동성이 부족하지 않아야 하는 등 일정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데 이 조건은 기축통화(국제외환시장에서 금융거래 또는 국제결재의 중심이 되는 통화 , 예로는 미국 달러화 ) 조건과 유사합니다.

    그리고 무역거래 시 현금 이외 아래 다른 여러 수단도 있습니다.

    물품 결제 : 물물 교환

    신용장 : 환어음 사용한 신용장 결제

    추심 결제 : 환어음 사용 추심 결제

    송금 결제 : T/T , M/T , D/D

    국제 팩토링 또는 포페이팅

    전자결제 : 전자수표 , 전자 신용장 ,무역카드 ,전자화폐등의 전자적 수단을 사용한 결제

    도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무역 거래 시 대금 결제 수단의 선택은 매매 당사자간의 합의에 따라 달러, 유로, 엔화, 위안화, 한화 등 자유롭게 통화 선택이 가능합다만, 국제 무역에서의 대금 결제는 대부분 미국 달러 또는 유로로 거래되고 있으며, 미국 달러와 유로의 전세계 통화량의 70-8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미국 달러만 해도 전 세계 무역 결제 통화의 45%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달러의 경우 전 세계 기축통화로서 외환 리스크로부터의 안정성이 비기축통화보다 월등하며, 외국과의 거래 시 번거롭게 상대국에게 자국의 화폐를 받을 것을 요구하거나 상대국의 화폐를 따로 마련해서 지불해야 할 필요가 없기에 편리합니다. 특히 다자간 무역(동시 3개국 이상이 거래에 참여)에서 결제 효율이 극대화 되는데 수출국에게서 받은 달러를 수입국에게 바로 지불하면 일일이 거액의 환전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다만, 미국의 긴축 정책에 따른 달러 강세화로 일부 국가의 경우 무역 대금 결제 시 달러 환율 변동 리스크를 헷지하고자 자국의 통화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추천' 및 '좋아요'는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안녕하세요. 박재성 관세사입니다.

    무역 대금 결제에서 달러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큰 것은 맞지만, 모든 무역 대금결제가 달러로 이뤄지는 것은 아닙니다.

    달러 외에도 유로화, 엔화, 위안화 등으로 결제가 이뤄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수출입 대금 결제 통화로 달러의 비중이 83.9%에 달할 정도로 비중이 매우 크며, 그 외에는 유로화 5.9%, 엔화 2.6%, 원화 2.4% 등으로 결제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무역협회 뉴스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kita.net/cmmrcInfo/cmmrcNews/cmmrcNews/cmmrcNewsDetail.do?pageIndex=1&nIndex=68048&sSiteid=1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무역 상담 지식답변자 전경훈 관세사 입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리겠습니다.

    1. 무역대금결제방식

    무역결제방식은 크게 송금(Remittance), 추심(Collection), 신용장(L/C : Letter of Credit) 결제방식으로 구분되며, 결제방식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이트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https://membership.kita.net/coc/fta/excellentCaseDetail.do?nowPage=&exId=546&sos_type=&searchtp=all&searchnm=&pageIndex=13&logGb=A9400_20210218

    2. 대금결제통화

    무역시 대금 결제통화는 당사자간의 합의에 따라 다양한 국가 통화단위를 자유롭게 사용 가능합니다.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추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제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국제물품매매계약의 특성상 매도인은 물품을 송부하고 매수인은 대금을 지급합니다.

    매도인은 정확하고 안전한 대금지급을 원할것이고 매수인 또한 의도한 품질과 수량의 물품을 원할 것인데, 대금결제의 과정에서 가장 안전한 화폐는 미국의 달러화일 것입니다.

    따라서 많은 무역거래가 달러화로 거래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다만, 무조건 달러를 통해 무역거래를 해야 하느냐에 대한것이라면 그것은 아닙니다.

    당연히 유로화, 엔화, 위안화, 원화 등 다양한 통화로서 거래가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국제무역 거래 시 사적자치원칙(계약자유원칙)에 따라 대금결제통화와 관련하여 당사자간 합의한 방법으로 정하여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국가별로 대금결제 가능 통화를 상이하게 규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달러나 유로 등과 같은 환율의 변동성이 크지 않고, 유동성이 부족하지 않은 국제적으로 신용도가 높고 확실한 통화를 사용하는 것이죠. 그래서 국제무역을 하는 많은 기업들이 달러를 대금결제통화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우리나라 대외거래에서 대가로 수취할 수 있는 통화인 영수통화는 미국 달러 등 IMF 8조국, 홍콩 달러, 유럽통화단위(Euro) 등으로 선별 지정되어 있고, 지급에 사용되는 지급통화인 경우는 어느 나라의 통화이든지 관계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으므로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무역을 진행한다고 하더라도, 결제통화의 경우 무역거래의 당사자간의 협의에 따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즉, 대부분의 무역거래에서는 USD가 사용되기는 하지만 합의에 따라서, CNY, JPY, EUR같은 준기축통화 그리고 KRW 등 기타통화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실제 무역거래에서는 달러의 신뢰성 / 환금성 / 수요 등을 고려하여 대부분 USD로 결제하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