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시뻘건무당벌레33
시뻘건무당벌레3323.11.25

화성에 대한 궁금증입니다. 알려주세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인 화성에 대해 궁금합니다.

엘론머스크 때문에 화성으로 가려는 프로젝트도 뉴스로 많이 접했는데요.

화성의 어떤 점이 지구와 유사할까요?

화성의 내외부는 생명체가 살아가기에 적정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성에 대해 궁금한 내용이네요!

    1. 행성 규모: 화성은 지구와 비슷한 크기를 가진 행성으로, 지구와 비교적 비슷한 질량과 지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2. 계절 변화: 화성은 지구와 마찬가지로 자전축의 기울기로 인해 계절 변화를 경험합니다. 이는 화성의 북쪽과 남쪽 지역에서 철저한 계절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3. 액체 물의 존재 가능성: 화성에는 지구에서와 같이 액체 물이 존재할 수 있는 환경 조건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지구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 화성은 생물이 살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일단 물이 없고 대기 중이 희박해서 생물이 살아가기 위한 산소 등을 얻기가 힘듭니다 하지만 지구와 제일 가깝고 중력은 약하긴 하나 큰 차이가 없습니다.

    이렇기 때문에 화성에서 생물이 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다른 행성보다는 수월하기 때문에 미래에는 생물체가 살도록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화성의 테라포밍(영어: Terraforming of Mars)또는 화성 개조는 화성을 지구와 비슷한 환경으로 만들어 인간이 살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드는 프로젝트이다. 이 과정은 다양한 자원집약적 계획을 통해 지구의 현존하는 기후, 대기, 지표면의 재생과 새로운 생태계의 설치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화가가 그린 화성의 테라포밍

    화성은 행성 중 지구에서 2번째로 가깝고, 지구와 크기가 비슷해 그나마 중력의 정도가 비슷하고, 과거 지구와 유사한 환경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지금도 유사한 점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환경을 바꾸기에 적합하다고 하여, 관련 분야에서 가장 많이 거론되고 있는 행성이다. 낮은 중력, 지구에 비해 낮은 빛 수준, 자기장 부족 등이 화성의 테라포밍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현재의 기술이 행성을 살 수 있는 환경으로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다른 이의에는 지형 형성에 대한 윤리적 우려와 그러한 사업에 수반될 상당한 비용이 포함된다. 행성을 테라포밍하는 이유에는 지구의 자원 사용과 고갈에 대한 우려 완화와 다른 행성의 변화 및 후속 또는 동시 정착이 인류의 멸종 확률을 감소시킨다는 주장이 포함된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와 가깝다는 장점으로 이동이 유리하죠.

    그리고 온도 즉 대기층이 그나마 지구와 가장유사하여 설비비용이 타행성에 비해 덜들게되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