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 왕릉의 변천사가 궁금합니다.
조선왕조의 왕릉은 현재 40개 정도가 남아있는데요.
그런 왕릉은 500년이 넘는 세월을 보여주고 있어서, 초기의 릉과 후기의 릉에서도 차이가 있다고 하던데요.
어떻게 변해온 것인지 특징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조선 왕릉의 변천사
조선 왕릉은 다음과 같이 5단계에 걸쳐 변화 발전했다.
1. 고려의 원칙이 유지된 시기. 석등과 팔각 석주를 사용하는 변화가 엿보인다.
2. 조선의 원칙이 모습을 드러내는 시기. 조선왕조는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기초한 자체 장례 체계를 세웠다.
3. 풍수지리의 원리에 주안점을 두고, 능묘의 간소화가 이루어진 시기. 칸막이가 난간으로, 회벽이 석실로 대체되었다.
4. 사실주의적 경향이 나타난 시기. 문인상이 무인상보다 더 높은 곳에 세워지는 방식이 중단되었고 석물이 실제 크기로 줄어들었다.
5. 왕실의 칭호가 왕에서 황제로 바뀐 것을 반영하려는 변화가 보이는 시기. 석물의 수가 늘어나 제례에 쓰이는 단 앞에 배치되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왕릉은 고려의 원칙이 유지된 시기에는 석등과 팔각 석주를 사용하는 변화를 보였습니다.
조선의 원칙이 드러내는 시기에 조선왕조는 국조오례의 에 기초한 자체 장례 체계를 세웠으며 풍수리지 원리에 주안점을 두고 능묘의 간소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해 칸막이가 난간으로 , 회벽이 석실로 대체되기 시작합니다.
사실주의 경향이 나타나면서 문인상이 무인상보다 더 높은 곳에 세워지는 방식은 중단되었고 석물이 실제의 크기로 줄어들었으며 왕실의 칭호가 왕에서 황제로 바뀐 것을 반영하려는 변화가 보이기 시작하면서 석물의 수가 늘어나 제례에 쓰이는 단 앞에 패치되면서 석물의 형태와 크기는 가벼운 변화를 보이지만 유형이나 배치는 변함이 없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왕릉은 삼국 시대와 고려 시대의 왕릉 제도의 영향을 받았는데, 고구려의 호석(護石)제도는 신라와 고려를 거쳐 조선왕릉에 그대로 전해졌고, 조선왕릉의 전체적인 형태는 공민왕의 무덤인 현정릉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았다. 조선왕릉은 한국 역대 왕조의 왕릉들 중 보존 상태가 가장 양호하다.
-출처: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