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 이름 짓는것 어떤 규칙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펀드에 투자릉 해보려 하는데요
펀드가 이름만 보면 규칟성이 있어서 대략 어느 펀드인지 알수 잇다고 하는데
펀드이름은 어떤 규칙이 잇나요??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펀드명은 7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습니다.
[운용회사 + 운용전략과 방법 + 자산 종류 + 모자 구분 + 법적 형태 + 주운용 자산 + 비용구조(클래스)]
위의 구조로 펀드명이 결정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특별한 규칙이 있는건 아닙니다만
아무래도 특정 투자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기 때문에
해당 펀드를 운영하는 주요 명칭을 섞거나 방향성을
고려하여 작성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펀드 이름을 짓는데도 일정한 규칙이 있습니다.
다음의 예시된 펀드이름에 숨은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①한국투자 ②삼성그룹 ③적립식 ④증권투자신탁 ⑤2 ⑥(주식) ⑦(A)
먼저 펀드명 맨 앞의 단어(①)는 펀드를 운용하는 운용회사를 의미합니다. ‘한국운용’에서 운용하는 펀드라는 의미입니다.
다음 ②는 펀드의 투자대상을 의미합니다. 예시 펀드는 주요 투자대상이 삼성그룹주식이라는 의미입니다. 투자대상을 사전에 확정한 펀드들은 대체로 펀드명에 반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펀드명만 전적으로 믿어서는 안됩니다. 펀드명에서 밝힌것과 실제 투자종목을 보면 다른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③은 펀드의 투자 방법을 의미합니다. 투자자들이 펀드에 투자하는 방법을 의미하나, 예시처럼 ‘적립식’이라고 해서 일시에 목돈을 넣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④는 이 상품의 유형을 의미합니다. 일반 투자자들로부터 투자자금을 모아 신탁재산을 만들어 그 재산을 특정한 유가증권에 투자, 운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⑤는 시리즈펀드를 의미합니다. 동일한 운용스타일이나 전략을 가진 펀드를 여러가지 이유, 예를 들어 판매회사를 달리하거나, 수수료를 달리하거나, 운용팀을 달리하거나, 또는 운용규모 등의 이유로 시리즈펀드를 만들게 됩니다.
⑥은 펀드의 투자자산군을 반영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주식’은 약관상 주식편입비가 60%이상인 펀드입니다. 채권혼합형은 ‘채권혼합’, 채권형은 ‘채권’, 인덱스형은 ‘파생상품’, 부동산형은 ‘부동산’, 펀드오브펀드는 ‘재간접’ 이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한편, 자산군뒤에 ‘자’ 또는 ‘모’ 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경우도 있는데, 모자형펀드 중 자(子)펀드, 모(母) 펀드를 의미합니다.
⑦은 클래스펀드를 의미합니다. 예시된 펀드처럼 표기하거나, ‘Class’, 간단히 ‘C’ 또는 ‘종류형’이라고 표기하기도 합니다.
멀티클래스 펀드에 표기되는 알파벳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Class A : 선취판매수수료 부과
Class B : 후취판매수수료 부과
Class C : 선취, 후취 판매수수료 없음
Class D : 선취, 후취 판매수수료 모두 부과
Class E : 인터넷 전용(일반적으로 A-e, C-e 등으로 같이 표기)
Class H : 장기주택마련저축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