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아하 그렇구나 진심으로 좋아요
아하 그렇구나 진심으로 좋아요23.12.26

하루는 24시간인데 과학적 근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오늘 멍때를 시간이 좀 생겨서 몇자 적습니다. 하루는 24시간이라고 누가 정했으며, 그렇게 정한 과학적 근거는 무엇인가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루가 24시간인 것은 지구의 자전 주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지구는 약 23시간 56분에 한 바퀴를 자전합니다. 하지만, 지구가 공전하면서 태양을 중심으로 한 자전축이 약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태양이 지구의 한 지점에 떠오르는 데는 약 24시간이 걸립니다. 따라서, 하루는 지구가 한 바퀴 자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아니라, 태양이 지구의 한 지점에 떠오르는 데 걸리는 시간을 기준으로 정의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26

    안녕하세요. 김형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하루가 24시간으로 정의된 것은 역사적으로 발전해온 개념입니다. 하루의 24시간은 주로 천문학적인 기준과 지구의 자전 주기에 기반하여 정해졌습니다.

    1. 천문학적인 기준: 하루의 24시간은 지구의 자전 주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지구는 자전하면서 360도를 도는데, 이는 하루의 24시간에 해당합니다. 즉, 지구가 한 번 자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하루의 길이로 정의한 것입니다.

    2. 태양 일정 시간 간격: 또한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누는데는 천문학적인 현상과 관련된 것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루를 아침, 낮, 저녁, 밤과 같이 다양한 시간대로 나누기 편리하기 때문에 이러한 분할이 정해졌습니다. 또한, 태양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시간을 나눈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4시간을 24시간으로 나누면 1시간당 60분, 1분당 60초로 나누기가 편리하므로 이러한 시간 단위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천문학적인 기준과 인간의 일상 생활 및 계산 편의성을 고려하여 하루를 24시간으로 정의하였고, 이는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루의 정확한 길이는 23시 56분 4.091초라고 합니다.

    즉, 지구가 자전하여 정확히 제자리에 돌아오는 시간을 말하며, 지구 자전속도가 매순간 느려지고 있다는것을 가정하면 미래에는 하루가 더 길어질 수있음을 암시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루가 24시간인 이유는 지구가 자전하면서 자전축을 따라 돌아가기 때문입니다. 이 자전축은 지구의 중심을 향해 기울어져 있으며 지구가 자전하는 동안 태양의 빛과 열을 받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이 생기게 됩니다. 이렇게 태양의 빛과 열을 받는 부분이 바뀌면서 낮과 밤이 생기게 되고 이게 하루의 시간을 결정하는 원리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루가 24시간인 것은 지구의 자전 주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지구는 자전하면서 자전축 주위를 한 번 회전하는 데 약 24시간이 걸립니다. 이것을 하루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과학적으로 이를 측정하고 확인하기 위해 천문학적인 관측과 시간 측정 장치를 사용합니다. 천문학적으로는 지구의 회전 주기를 측정하기 위해 많은 천문학적 장비와 방법이 개발되었습니다. 또한, 정확한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원자 시계와 같은 정확한 시간 기준이 사용됩니다.

    이러한 측정과 연구를 통해 우리는 하루를 24시간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는 지구의 자전 주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는 자전하면서 자체 축 주위를 돌아가는데, 이를 하루 동안 한 바퀴 회전하는 것으로 정의합니다. 지구의 자전 주기는 약 23시간 56분 4초입니다. 이를 하루로 계산하기 위해 24시간으로 근사화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루에 24시간인 것은 과학적인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지구가 한 바퀴 도는 시간을 24시간에서 나눈 것이 하루에 24시간이기 때문에 만약 하루를 다른 시간으로 나눴다면 그 시간이 하루 시간일 수도 있습니다 하루가 24시간이 된 것은 문화적인 영향이 큽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이 뜨고 지는 주기를 보며 1일 개념을 만든 인류가 1일 중에 밤낮의 시간 위치를 구분하기 위해서 만든 단위이지만 하루를 딱 24등분으로 나누게 된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어쨌든 그 근원은 지구표면의 한 지점에서 관찰했을때 태양이 천구상에서 같은 위치에 오는 주기이다. 24등분 된 하루중에, 정오를 12시, 자정을 24시 또는 0시로 표시한다. 사전적으로는 자정부터 다음 자정까지가 하루이고, 그래서 하루 종일을 24시간 내내라고 말하기도 한다.

    출처 : 나무위키 - 24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