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고귀한게논239
고귀한게논23923.09.19

하루가 24시간이 된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요?

하루가 24시간이 된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요?

언제부터 어디서에서 정했는지 궁금합니다.

왜 하루가 24시간이 된 이유를...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는 자전하면서 자전축 주위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합니다. 이러한 자전으로 인해 하루와 밤이 생기는데, 지구는 약 24시간이 걸려서 한 바퀴를 돕니다. 이로 인해 하루가 24시간으로 정해지게 되었습니다.

    또한,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일년을 완성합니다. 이 공전 운동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약 365일 6시간 돌아서 일년이 되는데, 이를 보정하기 위해 윤년이 도입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루가 24시간이 된 배경에는 지구의 자전주기로 인해서 입니다. 지구는 약 23시간 56분 4초의 주기로 자전합니다. 이를 24시간으로 나눈 결과, 하루는 24시간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는 자전을 함과 동시에 공전을 합니다. 지구는 스스로 한바퀴 도는데 딱 24시간이 걸립니다

    자전=하루=24시간이라는 공식이 세워지는겁니다.

    공전은 각 행성이 태양을 한바퀴 도는데 필요한 시간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루가 24시간이 된 이유는 지구의 자전주기 때문입니다. 지구는 하루에 한 번 자전하는데, 이 자전주기가 약 23시간 56분입니다. 고대 사람들은 이러한 지구의 자전주기를 바탕으로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누었습니다.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누는 것은 고대 바빌로니아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바빌로니아 사람들은 지구의 자전주기를 12등분하여 하루를 12시간으로 나누었습니다. 이후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도 이러한 방식을 채택하여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누었습니다. 현대에는 이러한 방식이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국제표준화기구(ISO)는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누는 것을 국제 표준으로 정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