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보도연맹
보도연맹

안녕하세요 가난뱅이입니다 요즘 경제적으로 많이 힘든 편인데요 서민들이 경제적으로 힘들수록 은행은 반비례로 많은 수익을 가져가는 것이 타당한가요 그리고 그런게 당연한가요

안녕하세요 가난뱅이입니다 요즘 경제적으로 많이 힘든 편인데요 서민들이 경제적으로 힘들수록 은행은 반비례로 많은 수익을 가져가는 것이 타당한가요 그리고 그런게 당연한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타당하다고 보긴 어렵지만 은행의 특성상 예대마진을 주요 수입원으로 하기 때문에 경제가

      어려워 대출을 많이 받을 수록 수익성이 좋아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 은행이 망하려면 대출을 받은사람들이 모두 돈을 안갚으면 가능할 수 있지만 시중은행의 대출은

      대부부 상환을 하기에 수익도 최고를 찍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서민들이 경제적으로 힘들 때, 은행이 더 많은 수익을 가져가는 것은 자연스럽게 보일 수 있습니다. 경제가 어려워지면 사람들이 돈을 빌리는 일이 많아지고 그럴 때 은행은 이자를 통해 수익을 얻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은행이 큰 이익을 내는 것이 꼭 공정하거나 당연한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정부나 사회에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의 경우 사기업입니다. 기업의 목적은 이윤을 창출하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많은 수익을 가져간다해도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그 은행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방법이고 시장논리에 따라 자율경쟁을 하게 하여 스스로 금리를 내리는 방향으로 조절하게 해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서민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것과 은행의 수익이 증가하는 것은 항상 일치하지는 않지만, 그럴 가능성은 있습니다.

    은행이 수익을 올리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대출 이자 수익: 서민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록, 대출 연체가 늘어나거나 이자율이 높은 대출을 이용할 가능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은행은 높은 이자율로 수익을 올릴 수 있습니다.

    수수료 및 서비스 수익: 은행은 다양한 수수료와 서비스를 통해 수익을 얻습니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금융 서비스나 대출이 필요할 때 수수료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자산 관리 및 투자: 경제적 불황에서도 은행은 자산 관리와 투자에서 수익을 추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타당한건 아닌데요... 자본주의시스템 자체가 그렇습니다. 그래서 당연하게 되는거 같습니다. 자본주의는 말그대로 자본이 최고인 시스템입니다. 그래서 자본이 없는 서민들은 뒤처질수 밖에 없습니다.

    만약에 1억 벌려고 해도 보통 사람 통장에 천만원 있다 치면 10배 수익내야합니다. 아니면 몇백만원씩 몇년에 걸쳐서 모아야하죠.

    근데 10억가지고 있는 사람은 10%수익내면 1억법니다. 물론 10%수익도 쉬운건 아닙니다만, 어찌됐건 그만큼 가능성에 있어서 큰차이가 난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그냥 이렇다라는걸 받아들이고 티클이라도 모아서 더 공부해서 불리는데 여념할수 밖에 없습니다. 소위 부자가 되려면 한 세대는 희생해야 된다는 말이 그냥 나온 말은 아닌거 같습니다.

  • 은행이 예대마진을 통해 수익을 내는 것이 꼭 서민들의 경제 사정과 반비례하는 것은 아닙니다. 물론 서민들의 경제가 어려울 때 은행에서 예대마진을 발생시키는 것이 좋지 않아 보일수는 있겠으나, 그렇지 않으면 은행은 존속 자체가 어려워집니다.

  • 냉정한 말입니다만 서민들이 경제적으로 힘들수록 은행이 반비례로 많은 수익을 가져간다는 것이 잘 이해가 되지않습니다. 타이밍상 최근 1~2년간 물가상승으로 기준금리를 올리자 금리인상에 따라 은행의 예대마진이 늘어나서 은행의 수익성이 늘어났지만 이것은 정부 정책상 타이밍이 그랬던 것이지 서민이 힘들수록 은행이 수익이 늘어난다라는 말은 안맞지 않나 싶습니다. 서민이 어려워져서 대출상환이 안되면 은행도 오히려 손실이 커질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말씀하신것처럼 경기침체와 물가상승으로 서민들의 경제는 파탄날 정도로 안좋습니다.

    하지만 은행의 예대마진율이 역대 최고치를 달성하는 등 사실상 은행에 대한 정부의 제재와 통제가 없다시피 한 상황입니다.

    은행 역시도 영리기관이긴 하지만, 막대한 부를 축적함에 있어서 서민들에게는 상대적으로 지원을 제대로 못한 것 같습니다.

    정부 차원에서 제도나 시스템 등 개혁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