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수술은 로봇 수술이 의무화로 되어 있다고 하는데 어떠한 이유에서인가요?
사람이 하던 수술이나 시술을 로봇이 하는걸로 대체하고 이를 법적으로 보장해주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데, 어떠한 이유에서 인가요? 사실상 사람이 하던 일들을 로봇이 하는걸 법적으로 보장해주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로봇 수술이 특정 시술에서 의무화 되었다는 표현보다는 해당 분야에서 로봇 수술의 장점이 워낙 커서 사실상 표준 치료법으로 자리 잡고 있거나 적극적으로 권고되는 경우가 많다고 이해하시면 좋습니다. 사람이 하던일을 로봇이 대체하고 이를 법적 혹은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이유는 주로 다음과 같습니다.
환자 안전성 및 결과 향상 :
정확성 및 정밀성 : 로봇은 수술자의 미세한 떨림을 보정하고, 수술 부위를 최대 10~15배까지 확대된 3D 고화질 영상으로 제공하여 사람의 손으로는 어려운 미세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종양 제거 시 주변 조직 소산을 최소화하거나 혈관, 신경 등 중요한 구조물들을 정교하게 보존하는데 큰 이점을 줍니다.
최소 침습 : 로봇 수술은 작은 절개를 통해 진행되므로 환자의 통증이 적고 출혈량이 감소하며 회복 속도가 빠릅니다. 이는 감염 위험을 줄이고 입원기간을 단축시켜 환자의 전반적인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합병증 감소 : 정교한 시술은 수술후 발생할수있는 합병증의 위험을 낮춥니다.
의료진의 수술 환경 개선 :
로봇 시스템은 의사의 피로도를 줄이고 인체공학적으로 더 편안한 자세에서 수술을 할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는 장시간 수술 시에도 의사가 최상의 집중력을 유지하게 하여 수술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합니다.
기술 발전과 효율성 :
지속적인 기술 발전을 통해 로봇은 특정 시술에서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는 퍼포먼스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효율성과 우월성이 입증되면, 의료 시스템은 더 나은 결과를 위해 로봇 도입을 장려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암 수술 등 고난도 수술에서 로봇의 장점이 명확해지면서 비뇨의학과,산부인과,외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명확한 이점들로 인해 로봇 수술은 특정 분야에서 최적의 치료 방식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그 결과 의료 지침이나 보험 적용 범위 등에 영향을 미쳐 사실상 선호되거나 표준이 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 로봇 수술이 기존 수술보다 명확히 우월하다고 단정하기는 어려우며, 건강보험 적용 등 비용 효과성에 대한 논의도 여전히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일부 법적으로 허용하는 부분이 있어야 해당 부분에도 어느 정도 발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정책적으로 결정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안녕하세요.
일부 수술에서 로봇 수술이 권장되거나 의무화되는 이유가 정밀하고 그 때문에 안전하기 때문일 겁니다. 사람들은 하다보면 손이 떨릴 수도 있고 그렇지만, 로봇은 아니잖아요. 그리고 여러 장치들과 연동해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어 절개 범위를 최소화해서 출혈도 줄일 수가 있을 거에요.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로봇 수술이 의무화되는 이유는 정밀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로봇은 사람 손보다 미세한 조작이 가능하여 합병증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의사의 피로도를 낮추고 수술 시간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일부 부위나 고난도 수술에서는 로봇이 더 일관된 결과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환자의 안전과 치료 성공률 향상을 위해 의무화되는 경우가 있다고 보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