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

어렸을 때 넓고 크게 보였던 것이 어른이 되면 좁고 작게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어렸을 때 놀았던 골목이나 공원 등을 어른이 되어 가 보면 예전 기억보다 좁고 작게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요. 그렇게 보이는 과학적인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렸을 때 크게 보였던 것이 어른이 되고 작게 보이는 것은 몸 자체가 커지는 원인도 있습니다

      또한 인지 능력이 향상되면서 공간을 좀 더 넓게 바라 볼 수 있기 때문 이기도 해요.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보는 시선이 달라지고, 사고 방식이라던지 사용한 크기들이 달라짐으로 작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성장을 하면서 크게 보였던 것들이 작게 보이는것은 그만큼 성장한것도 있고 어렸을때는 좀더 과장되게 기억하는듯 합니다. 과학적인 이유보단 심리적인 이유가 더 큰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렸을 때는 몸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주변 공간을 더 크게 인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어렸을 때는 시야각이 좁기 때문에 골목이나 공원이 더 넓고 컸던 것처럼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른이 되면 몸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주변 공간이 작게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어른이 되면 시야각이 넓어지기 때문에, 주변 공간을 더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어른이 되어 가 보면 골목이나 공원이 예전 기억보다 좁고 작게 보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의 시각은 카메라 렌즈처럼 물체를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뇌에서의 다양한 인지적 과정을 거쳐 종종 실제와는 조금은 다른 모습 (혹은 느낌)을 전달해주곤 합니다. 다양한 착시 효과가 이런 현상을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자기 몸이 작다고 느끼게 된 사람들은 다양한 물건들, 예를 들면 다른 사람의 손가락이나 매일 보던 볼펜 등의 크기를 매우 크다고 표시하게 되며 자기 몸이 크다고 생각하게 된 사람들은 반대로 물건들의 크기와 거리 등을 매우 작고 가깝다고 표시하게 된다는 거죠.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린아이떄는 작은 키에서 물체를 바라보는 시각이 아래서 위로 바라 보게 됩니다. 그럼 보는 각도가 위로 넓어지면서 물체의 크기가 더 크게 보이는데 커서 보면 키가 자라면서 보는 시선의 높이가 달라지게 됩니다. 그래서 어렸을떄 커보이는 것이 커서는 작아 보이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사진을 찍을때나 옷가게에 거울을 보면 약간 비스듬이 하면서 아래서 사진을 찍습니다. 그럼 상대적으로 물체가 커보이는 시각효과가 나면서 더 크게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