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은 어느정도로 준비해놔야 할까요?
아직 몸 아픈데 없고 한살이라도 어릴때 보험을 들어두려 하는데 어느정도로 준비해놔야 될까요? 부족하지도 과하지도 않게 해놓고 싶어서요.
안녕하세요. 박지연 손해사정사입니다.
예전에는 20년납해서 40대중후반에 위험리스크 헷지해야지 그런 개념이었는데 지금 세상은 많이 달라졌어요. 계속관리하는 개념으로 통상적으로 40대이상부터 본격적으로 아픈 곳이 생기니 감안해서 잘 생각해보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한기성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은 어릴수록 저렴하고 유리하므로 지금 준비해두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부족하지도 과하지도 않게 구성하려면 단독실손 + 비갱신 중심 종합보험 두 가지를 기본으로 잡는 것이 가장 안정적입니다. 단독실손은 병원비 지출을 실제로 보장해주는 필수상품이고, 종합보험은 암·뇌·심장 같은 큰 질병과 수술비를 정액으로 보장해주는 구조로 준비하시는게 좋을듯합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은 반드시 가입해야하는 상품이 아닙니다.
본인의 재정적 능력과 투자성향 등에 따라 최소한 또는 아예 가입하지 않는 분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그래도 가격대비 보장력이 넓고 유용한 실손의료비 정도는 가입하여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보험이나 상해보험 등은 필요성에 따라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영근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은 실손보험을 기본으로 하고 암/뇌/심장 등 3대 진단비를 적정 수준만 유지하면 됩니다. 사망보장은 최소한의 정기보험으로 구성해 과한 가입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체 보험료는 소득의 3%~5% 이내로 맞추면 부족하지도 과하지도 않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됐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장재영 보험전문가입니다.
이 질문에 답변은
납입 할 수 있는 보험료부터 책정하시고 그에 맞춰 적당히 드는게 최선입니다.
보장이 넉넉하고 좋을수록 보험료가 높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 질문자의 나이가 어떻게 되는지는 알 수 없으나, 가장 기본이 되는 실손보험과 상해보험(운전을 한다면 운전자보험으로 가입을 하면 니다). 그외에 질병보험과 일배책보험으로 구성을 한다면 기본구성은 된다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한승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어린 나이에 보험을 미리 준비하신다는 것은 좋은 선택입니다. 일단 고정적 수입이 있는 상황이실 때 들기 시작하시는 게 좋고, 월 보험료가 월 수입의 10% 미만으로 들어오도록 짜는 것을 권장합니다.
병원에 자주 가시는 편이라면 실비보험부터 추천드립니다.
직업이 몸을 쓰시는 일이거나 부상 위험이 있는 쪽이라면 상해보험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건강하고 나이는 더 들기전에 가입을 하는것이 그나마 내일보다 저렴하고 좀 더 나은 조건으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보험료는 보통 수입의 10%~15%정도라고들 하지만 본인의 수입에 따라 개인마다 부담은 다를 수 있습니다 몇십년씩 납입해야하기 때문에 실비와 중대질환에 대한 진단비 수술비 치료비 상해에 대비하여 보장금액을 조절하여 가입해두면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