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어린관박쥐58
어린관박쥐58

우주가 점점 수축하면 밤하늘은 점점 밝아지나요 ?

팽창하면서 서로의 별들이 멀어지고있다고 알고있는데 그럼 반대로 수축을 하기시작하면 밤하늘은 인지는 못하겟지만 점점 간격이 좁아지니 밤하늘이 시간이 지나면 밤낮구분없이 밝아진다고 봐야할까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울통불퉁침팬치
      울통불퉁침팬치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만약에 우주가 점점 수축을 한다고 하면 별들의 거리도 줄어들어 서로 중력에 의해 합해지고 충돌하여 밤하늘을 밝아질 수 있을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의 생각대로 수축하면서 별들이 점점 가까워진다면 밤하늘은 밝아지고 밤과 낮의 구분이 모호해질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별들이 서로 멀어지는 현상은 우주의 팽창이라는 현상으로 설명됩니다. 만약 우주가 수축하게 된다면, 별들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밤하늘에서 별들이 서로 가까워지고 밝아지는 현상이 관측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가 점점 수축하면 밤하늘이 점점 밝아지지는 않습니다. 실제로는 반대로, 우주가 점점 더 넓어지고 팽창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허블의 법칙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허블의 법칙에 따르면 먼 은하들이 우리로부터 멀어지는 속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먼 은하에서 오는 빛의 파장이 늘어나고 적색으로 이동합니다. 그 결과 먼 은하의 빛은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으로 변하게 됩니다.

      또한, 우주는 무한히 오래된 것이 아니며, 빛은 이동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멀리 있는 별들의 빛이 아직 우리에게 도달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또한 우주는 무한히 크지 않으며, 무한히 많은 별이 존재하는 것도 아닙니다. 이러한 이유로 밤하늘은 어둡게 보이며, 별들이 모든 방향에서 눈에 띄게 밝게 빛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밤하늘이 어둡게 보이는 것은 올베르스의 역설이라고도 불립니다.

      우주가 점점 수축한다면 밤하늘이 밝아지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더 어둡게 보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