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짙푸른보석새82
짙푸른보석새82

엔트로피는 항상 증가한다는데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문득 궁금해져 질문드립니다.

엔트로피는 무질서도이고 우리가사는 세상은 무질서도가 항상 증가하는 쪽으로 움직인다고 하는데 이말이 도무지 이해가 안가서요.. 이해되도록 쉽게 예를들어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엔트로피는 물리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무질서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어떤 시스템이 얼마나 무질서한지를 나타내는 것이죠. 예를 들어 방 안에 놓여진 책들이 모두 정리되어 있다면 그 방은 상당히 정돈되어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책들이 뒤죽박죽으로 놓여져 있다면 그 방은 상당히 무질서한 상태가 될 것입니다.

    이와 비슷하게 우리가 사는 세상도 엔트로피의 개념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세상은 항상 무질서한 상태로 움직이는데 이는 엔트로피가 항상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 몸의 열역학적 엔트로피는 항상 증가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먹은 음식을 소화하고 에너지를 사용하면서 열을 발생시키는데 이 열은 우리 몸 밖으로 나가게 되어 엔트로피가 증가하게 됩니다.

    또 다른 예로는 우리 주변의 환경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자원들은 계속해서 소모되고 이는 자연적으로 무질서한 상태로 변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나무를 쓰고 난 후 남은 재료는 무질서한 상태로 남게 되는 것이죠.

    따라서 엔트로피는 항상 증가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이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우리 주변의 세상을 관찰하고 엔트로피가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는 것입니다. 이렇게 생각하면 엔트로피의 개념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엔트로피는 무질서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입니다.

    쉽게 말해 시스템이 얼마나

    흐트러져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은 엔트로피가

    항상 증가하는 쪽으로 움직입니다.

    세상은 점점 더 흐트러져 가는 것입니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몇 가지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방을 청소하면 처음에는 깔끔하고 정돈된 상태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먼지가 쌓이고 물건들이 어지럽게

    놓여 방은 점점 더 흐트러져 갑니다.

    이는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과정입니다.

    달걀을 깨뜨려 팬에

    붓으면 처음에는 액체 상태입니다.

    불에 익으면서 단백질이 응고되어

    고체 상태의 스크램블 에그가 됩니다.

    이 과정에서 달걀은 액체라는 정돈된 상태에서 고체라는 흐트

    러진 상태로 변합니다.

    얼음은 결정 구조를 가진 정돈된 상태입니다.

    온도가 높아지면서 얼음은 녹아

    액체 상태의 물이 됩니다.

    액체 상태는 결정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얼음보다

    흐트러진 상태입니다.

    자동차 엔진은 연료를 태워 에너지를 얻습니다.

    이 과정에서 엔진은 열을 발생시키고 소음을 만들어냅니다.

    이는 에너지가 고농도에서 저농도로 분산되는 과정이며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과정입니다.

    우주론에 따르면 우주는 팽창하면서 점점 더 차가워지고

    에너지가 고르게 분포될 것입니다.

    이는 우주의 엔트로피가 최대화되는

    상태이며 열죽음이라고 불립니다.

    이처럼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많은

    현상들은 엔트로피 증가와 관련됩니다.

    엔트로피는 자연의 기본 법칙이며 우리는 이 법칙을

    이해하고 적응해야 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에트로피는 열역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물질의 무질서도를 나타냅니다. 열역학 제2법칙에 따르면 자연 현상은 무질서하게 진행되며, 에트로피는 항상 증가한다고 합니다.

    에트로피의 증가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관찰됩니다:

    비가역 과정: 비가역 과정은 한 방향으로만 진행되며, 그 반대 방향으로는 자발적으로 일어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뜨거운 커피를 방안에 두면 열이 주변으로 전달되어 커피는 식게 됩니다. 이때 엔트로피가 증가합니다.

    물질의 혼합: 서로 다른 물질을 섞을 때 엔트로피가 증가합니다. 물질이 혼합되면 더 많은 방법으로 배열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열전달: 열이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이동할 때 엔트로피가 증가합니다. 열이 고온에서 저온으로 이동하여 결국 평형을 이룬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엔트로피는 물질의 무질서도를 나타내며, 자연 현상은 무질서하게 진행되고 엔트로피는 항상 증가한다는 열역학 제2법칙을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