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의 노루와 한반도의 노루는 같은 종인가요?
제주도에는 노루가 살고 있습니다. 한라산을 비롯하여 여러 오름에서 노루를 관찰할 수 있는데요, 제주도의 노루와 한반도의 노루는 같은 종인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제주도의 노루와 한반도의 노루는 같은 종(Species)으로는 분류되지만, 유전적으로는 차이가 있어 별도의 아종(Subspecies)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좀 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분류학적으로는 노루라는 같은 종으로 분류되지만, 빙하기 이후 해수면 상승으로 제주도가 육지와 분리되면서 유전적 교류가 끊겼습니다. 그 결과 오랜 시간 동안 제주도의 환경에 독자적으로 적응하며 진화하여 유전적으로 차이가 발생한 것이죠.
그래서 학계에서는 제주 노루를 '제주노루(Capreolus pygargus pygargus)'라는 별도 아종으로 구분합니다. 외형적으로도 한반도 내륙의 노루보다 몸집이 작고 털 색깔 등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입니다.
따라서 같은 종의 사촌 격이라 할 수 있지만, 지리적 고립으로 인해 다른 특성을 가진 별개의 집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주도의 노루와 한반도 내륙의 노루는 시베리아노루라는 동일한 종에 속합니다. 하지만 제주도의 노루는 빙하기 이후 섬에 고립되어 독자적으로 진화하면서 내륙의 노루와는 유전적, 형태적으로 차이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별도의 아종인 제주노루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종 수준에서는 동일하지만, 그 하위 단계인 아종 수준에서는 서로 다른 집단으로 구분됩니다.
안녕하세요. 네, 제주도에 서식하는 노루는 한반도 전역에 사는 노루와 기본적으로 같은 종에 속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제주도의 노루는 오랫동안 섬이라는 제한된 환경에서 살아온 결과, 한반도 전역에 서식하는 노루와는 몇 가지 차이가 있긴 합니다. 우선 한반도의 노루는 산림, 초원, 농경지 등 비교적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하고 있는데요 반면 제주도의 노루는 섬 특성상 이동 범위가 좁고, 주로 한라산과 주변 오름 같은 제한된 고지대 환경에 적응해 있습니다. 제주 노루는 전체적으로 체구가 작고 몸집이 날씬한 경향이 있는데요, 털빛이나 뿔의 크기도 약간 차이가 보고되며, 이는 섬 환경의 먹이 자원 제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물론 분자생물학적 연구에 따르면, 제주 노루와 한반도 노루는 유전적으로 구분 가능한 집단이라는 결과가 나오긴 하지만 이 차이가 종 수준으로 인정되지는 않고, 현재는 같은 종 안의 아종 또는 지역 개체군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