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의 높이가 60M이상이면 측뢰설비 대상인가요?
회전구체법에 의한 반경내에 있다면 60M넘는 부분이 조금 있는데 그것도 측뢰설비를 생략할 수 있나요??
또한 60M가 넘는 부분의 측뢰설비는 어느 높이에 설치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건축물의 높이가 60m 이상이면 일반적으로 피뢰설비 설치가 권장됩니다. 회전구체법에 의해 분석했을 때 반경 내에 포함되는 건축물은 피뢰설비를 설치해야 합니다. 만약 건물의 특정 부분만 60m를 초과하는 경우라도 이 부분이 회전구체법 반경 내에 포함된다면 피뢰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설치하려는 부분의 구체적 높이는 건축물의 전체 구조와 주변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가장 높은 지점에 설치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정확한 설계를 위해서는 관련 규정과 현장 조건을 참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건축물의 높이가 60m를 초과하면 일반적으로 번개 보호 시스템 설치 대상입니다. 그러나 회전구체법에 따라 번개가 직접 닿지 않는 구역이라면, 예외적인 상황에서는 설치를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60m 이상 건축물의 번개 보호 시스템은 구조물의 가장 높은 지점에 설치되며, 통상적인 경우 지면에서 가장 높은 곳까지 보호하도록 설계됩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보다 정확한 평가를 위해 전기 안전 인증된 전문가와의 상담을 권장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에서는 20m이상되는 건축물에는 측뢰 설비를 설치해야한다고 합니다. 설치하는 것은 최상단에 설치하는것을 기준으로 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문가입니다.
건축물의 높이가 60M 이상이면 측뢰설비 대상이 됩니다.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일부 생략이 가능하지만, 관련 규정에 따라 적절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60M가 넘는 건물의 측뢰설비는 건축물의 최상부에 설치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60M가 넘는 부분의 낙뢰 보호설비는 의무사항입니다. 이에 건물 꼭대기에 피뢰침을 설치하고 그 피뢰침과 지상의 접지와 연결시키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건축물의 높이가 60m 이상이면 일반적으로 낙뢰로 인한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측뢰설비(낙뢰 보호 설비) 설치 대상이 됩니다. 이는 건축물의 높이에 따라 낙뢰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전기설비기술기준 또는 건축법에 따르면 고층 건물이나 대형 구조물은 반드시 측뢰설비를 설치해야 하며 특히 높이가 60m 이상인 건축물은 낙뢰 보호를 위한 시설을 갖추는 것이 의무적일 수 있습니다. 이 설비는 건물에 번개가 떨어질 때 전류를 안전하게 지면으로 유도하여 화재나 감전 사고를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높이가 60m를 초과하는 건축물은 상층부로부터 20%에 해당하는 구간에 측뢰 보호 대책을 강구해야 하므로(60m 미만 구간은 제외) 귀하의 건물의 60m ~ XXM 초과 구간에는 측뢰 보호대책을 강구하여야 합니다. 정확한 높이를 대한전기협회에 질의해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