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라병에 멘토스가 빠졌는데 콜라가 화산처럼 뿜어져 나오던데 왜그러는건가요?
아이가 장난치다가 멘토스를 콜라병에 넣었더니 화산 폭발처럼 콜라가 뿜어져 나오더라구요. 어떤 이유로 콜라가 이렇게 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첫 번째로 멘토스에 있는 아라비아 고무성분과 탄산음료의 탄산염이 반응하고,순식간에 엄청난 양의 이산화탄소를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로 멘토스 표면에 있는 수많은 미세한 구멍이 해당 반응을 빨리 일어나게 돕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멘토스는 껌처럼 질긴 성질과 끈적한 성질이 있는데 이는 아라비아 고무성분 때문입니다. 그리고 콜라에는 탄산염이 있어서 청량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멘토스의 아라비아 고무성분과 탄산염이 반응하여 급속도로 탄산(이산화탄소)을 만들어내는 원리입니다.
콜라에 녹아 있던 탄산이 이산화탄소가 되어 나오는 것입니다.
콜라와 같은 탄산음료에 함유되어 있는 아스파담과 칼륨 벤조에이트는 물의 표면장력을 떨어뜨려 물에 녹아 있던 이산화탄소가 물 안에서 기포를 형성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맨토스는 기포들을 포집 하도록 매개 역할을 하여 물속에서 대형 기체덩어리를 만들 수 있게 합니다.
멘토스는 표면이 울퉁불퉁하여 기포들을 포집 할 수 있게 하고 멘토스에 코팅되어 있는 코팅제가 녹으면서 계면활성제 역할을 하여 물과 기포사이에 존재하는 표면장력을 파괴 합니다.
맨토스에 의해 거대한 이산화 탄소 기체 덩어리가 여러개 만들어지게 되고 이것이 대기중으로 빠져 나가면서 폭발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멘토스의 표면이 콜라 내부의 표면장력을 약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멘토스를 현미경으로 살펴보면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구멍들이 엄청나게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 미세한 구멍들은 콜라 속 이산화탄소가 콜라 안에서 금방 뽑혀 나오도록 도와줍니다. 그러면, 콜라를 세게 흔들어 이산화탄소와 콜라를 분리시키면 강하게 콜라가 뿜어져 나오는 것처럼, 멘토스를 넣은 경우에도 콜라가 뿜어져 나옵니다.
콜라의 탄산이 셀수록, 멘토스의 개수가 많을 수록 (어느정도 까지만) 뿜어져 나오는 콜라의 양은 증가합니다. 폭발의 강도가 다양했던 이유는 탄산음료의 종류마다 표면장력이 다르기도 하고, 탄산의 양도 달랐기 때문입니다
- 멘토스가 콜라의 표면 장력을 약화시켜서 이산화탄소가 급격히 분출되기 때문입니다.
콜라에서 이산화탄소가 뿜어져 나오는 것인데,
평소에 물 분자들의 표면 장력 때문에 이산화탄소가 빠져나오는 속도가 느립니다.
그런데 멘토스가 물 분자의 결합을 방해해서 이산화탄소 거품이 펑 하고 화산처럼 터지는 것입니다.
멘토스 표면의 아라비아 고무가 이러한 영향을 만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