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2×10^23은 실제 존재하는 원자 수 인가요??
과학시간에 이런 걸 배운 적이 있습니다.
1몰에 6.02×10^23 이라네요.
근데 이게 직접 수를 확인해보니까
일상에서는 보기 힘든 수 이더라구요.
이게 실제로 원자 개수가 저렇게 존재하는 건가요??
안믿겨져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6.02×10^23은 아보가드로 수라고 불리며, 1몰의 물질에 포함된 원자나 분자의 수를 나타냅니다. 이 숫자는 매우 커서 일상적 경험으로 실감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물리적 화학적 실험을 통해 이를 뒷받침하는 결과가 꾸준히 확인되어 온 과학적 사실입니다. 이 숫자가 실재하는 이유는, 예를 들어 물 한 방울 속에도 엄청난 수의 물 분자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믿기 어려운 수치지만, 과학적으로 입증된 개념입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접하기 어려운 수인 6.02×10^23는 화학에서 중요한 아보가드로 수라는 개념입니다. 이는 1몰에 해당하는 원자, 분자, 전자 등 입자의 개수를 나타냅니다. 즉, 물질 1몰 속에 있는 원자나 분자의 개수라는 뜻입니다. 실제로 개별 원자나 분자의 수를 직접 세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이 숫자는 과학자들이 실험을 통해 아주 정확하게 측정된 값입니다. 일상적인 감각에서 벗어난 크기이기 때문에 믿기 어려울 수 있지만, 과학적으로 인정된 실질적인 값입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네, 6.02×10^23은 실제로 존재하는 원자의 수입니다. 학교에서 배우셨듯 1몰은 6.02×10^23개의 입자를 의미하며, 이는 아보가드로 수라고 불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 전문가예요~
6.02X10^23 숫자는 실제로 존재하는 원자의 개수예요.
1몰이라는 화학에서 사용하는 기본 단위 입자의 갯수를 뜻합니다..
19세기에는 실험을 할때
동일한 입자가 들어있는지 파악을 할수없었어요.
아보가드로가 6.02X10^23 이라는 숫자를 제안하였고
물질의 특성을 설명할때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로 받아들여졌어요.
1몰이라는 개념이 중요하구요.
화학식에서 화학반응식을 통해서 반응량을
계산할때도 항상 사용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를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6.02×10^23은 아보가드로 수로, 1 몰의 물질 안에 포함된 입자 수를 나타냅니다. 이 값은 화학에서 사용되며, 1 몰의 물질 안에는 약 6.02×10^23개의 입자(원자, 이온, 분자 등)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값은 실제 존재하는 원자 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물질의 양을 표현하는 단위인 몰과 관련된 개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