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핀테크 기업들이 구조조정 이슈로 몸살을 앓고 있는데요. 왜 이 지경이 된것인가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핀테크 혁신 기업이 있습니다. 카카O라는 기업인데요.
이외에도 핀테크를 지향하는 기업들이 구조조정 이슈로 굉장히 시끄러운데요.
앞으로 미래의 장밋빛만 바라보던 이 기업들이 왜 이렇게 힘들어하는건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핀테크 기업들은 한 때 저금리 기조가 유지될 때에 많은 인력을 고용하여 많은 사업들을 진행하였으나, 현재는 기준금리가 인상되어 투자 유치를 받는 것 뿐만 아니라 쉽게 다른 사업에 투자할 수 없게 되어 구조조정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핀테크기업의 경우 기술력은 잇으나 상대적으로 자본력이 떨어져 현재와 같이 금리가높고 유동성이 부족한 시기에는 투자를 받기 어려워 주요 핀테크 기업은 비용을 줄이는 방법을 택하고 잇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핀테크와 같은 경우에는 아직까지도
엄청난 활성화가 되어있다고 보기어렵고
경기위축으로 인하여 금융에 대한 수요가 다소
줄어든 것도 있는 등 이에 힘들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핀테크 기업들의 경우를 보면 대부분 플랫폼을 통한 매출 수익이 발생하는 구조인데, 코로나 당시에는 비대면이 크게 증가하게 되면서 플랫폼 기업들이 큰 영업실적 성장을 거두었는데 이 때 인건비를 50%까지 상승한 곳도 많다 보니 인건비를 너무 높이면서 고정비를 높였던 것이 화근이 되었어요
이렇게 고정비가 높은데 매출이 감소하게 되자 영업실적은 크게 하락할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되면서 구조조정을 해야만 하는 상황까지 오게 된 것이에요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개발자들의 연봉이 높은 편이고 금리가 급격히 올라가면서 부채에 대한 부담이 커지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