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땅속의 말똥구리
땅속의 말똥구리23.06.20

울릉도에 호박엿과 오징어가 유명한 이유는 왜일까요?

울릉도는 호박엿과 오징어가 특산품인것으로 압니다.

호박엿과 오징어가 특산품이 된 역사적 이벤트나 해프닝이 있었을까요? 어떤이유에서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울릉도를 개척할 당시에 육지에서

    들어온 한 처녀가 가져와 심은

    호박씨에서 호박이 주렁주렁 열려 울릉도 사람들이 이 호박으로 죽을 쑤어

    먹었는데 그 맛이 엿과 비슷했다 합니다. 여기에서 호박엿이라는 말이 유래되었고 호박을 많이 생산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오징어 역시 많이 잡혀 일본인들이

    불법으로 많이 잡아가 울릉도 오징어가

    유명한 특산물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울릉도는 국내에서 보기 드문 해양성 기후를 보이는데 연평균 온도가 12.3으로 온화합니다.

    특히 가장 춥다는 1월에도 평균기온이 영하로 내려가지 않고 가장 더운 8월에도 24도를 넘지 않아 전국에서 가장 온화한 지역이 되는데, 그리하여 울릉도산 호박은 그 맛이 엿처럼 달고 좋으며, 다른 지역보다 당분이 훨씬 많이 함유되어 엿이 더욱 달고 맛이 좋고 다른 엿에 비해 덜끈적이고 뒷맛이 고소하기 때문입니다.

    오징어의 경우 빠른시간에 태양열로 자연건조 시켜 신선하고 맛이 좋기로 유명하며 울릉도 근해는 한류인 북한해류와 난류인 동한해류가 합류하는 어장으로 회유성 어족이 풍부해 오징어가 많이 잡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호박 같은 경우는 다른지역에 비해서 울릉도 호박이 단맞이 강하다 합니다.

    그리고 영양소 도 많은편 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오징어 는 사면이 바다라서 신선한 바닷바람 과 그리고 해 여러

    조건이 다른 지역보다 좋다 합니다.

    울릉도 가 오징어 말리는데 에는 최적의 장소라고 하더군요!...


  • 안녕하세요. 안경국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울릉도는 대한민국 동쪽에 위치한 섬으로, 다양한 자연환경과 풍부한 어촌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호박엿과 오징어는 울릉도에서 특히 유명한 지역특산물로 손꼽히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자연환경: 울릉도는 깨끗한 해수와 아름다운 산과 들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자연환경은 호박과 오징어 등 특산물의 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 특별한 맛과 향을 형성합니다.


    2.재배조건: 호박은 울릉도의 특수한 기후 조건과 토양 조건 때문에 특별한 품질을 가집니다. 울릉도는 겨울에는 충분한 양의 눈과 서리를 받으며, 봄, 여름, 가을에는 적절한 기온과 습도를 유지합니다. 이러한 환경은 호박의 성장과 익음을 촉진시키고, 고유한 맛과 단맛을 형성하는 요인이 됩니다.


    3.전통과 역사: 호박엿과 오징어는 울릉도의 역사와 문화와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울릉도는 오랜 세월 동안 어촌문화와 어업이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호박과 오징어는 지역 주민들이 오랜 전통과 기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온 지역특산물입니다. 이러한 전통과 역사는 호박엿과 오징어를 더욱 유명하고 특별하게 만들어 줍니다.


    따라서, 울릉도의 자연환경과 특수한 재배조건, 그리고 지역의 전통과 역사가 호박엿과 오징어의 특별한 맛과 유명함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울릉도를 방문하는 여행자들에게 독특한 맛과 경험을 선사하는 지역특산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엿장수가 부르는 「엿단쇠소리」에서 “울릉도라 호박엿”이라는 구절이 나오는 바와 같이 울릉도를 대표하는 특산엿으로 알려져 있다. 본디는 후박나무의 수피(樹皮)를 첨가하여 만들었다. 이 후박엿은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육지에 전래되면서 호박엿으로 와전된 것이다.


    오늘날 시중에서 유통되는 울릉도 호박엿은 엿 중에서 맛과 품질이 좋은 엿을 칭하는 말로 바뀌었다. 관광상품으로 울릉도에서 시판하는 호박엿은 울릉도지방에서 많이 생산되는 감자를 이용하여 만들고 있다.


    물론, 호박에는 전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엿기름으로 삭혀서 엿을 만들 수 있다. 울릉도에서는 호박을 이용하여 엿을 만드는 방법을 개발, 성공한 바 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