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사모펀드들이 자진상폐를 하는 이유가 뭔가요?

가끔 뉴스를 보다보면 사모펀드들이 인수한 기업을 자진상폐를 하는 기사를 자주 봅니다. 근데 왜 어렵게 상장한 기업을 자진상페를 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사모펀드가 자진상폐를 하는 이유는 제도적인 압박을 줄이기 위해서인데요. 대표적으로 공시의무·주가 변동성·배당 확대·일반주주 관리 등 경영상의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론의 시선을 피하게 되기 때문에 자금조달과 자산처분 등에서 자유로워지고, 자본이득도 주주가 100% 얻을 수 있단 점도 자진상폐를 하는 이유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상장기업은 규제와 공시 등 경영의 투명성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그래야 주주들이 믿고 투자합니다.

    사모펀드가 인수한 기업은 경영의 효율성을 올리기 위해 규제에서 벗어나고 경영에 대한 자율도를 올리기 위해

    비상장사로 전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규제, 공시의무 회피로 경영에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함일 수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사모펀드들은 상장폐지를 함으로써

    이에 따라서 주주들에게 환원 정책 등을

    하지 않아도 되며 더불어서 공시 등을 하지 않고

    보다 기업 경영이 편해져 이에 자진상폐를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사모펀드들이 인수한 기업을 자진 상폐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공시 의무, 주가 변동성, 일반 주주 관리등

    경영진에게 부담이 될 요소를 해소하고자 자진 상폐를 하는 것입니다.

  • 사모펀드들이 기업을 인수한 뒤에 상장 폐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주주가 분산되어 있고 지배권이 강하지 않으면 급격한 정책 변경이나 개혁을 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상장 폐지한 뒤에 혹독한 기업 구조조정을 거치고 사업 개편을 한 뒤에 몸값을 올려서 다시 재판매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상장기업 자체가 좀 피곤하긴하죠 상장규정이나 공시의무 등을 지키고 모든 주주들의 입장을 고려해서 주주친화정책도 정부에서 펼치라고 하니 사모펀드입장에서는 피곤한게 클거 같습니다

    어차피 회사 팔아먹을때 상장유무가 그렇게 중요한건 아니거든요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사모펀드의 기업 인수의 목적은 기업 가치를 높인 후에 매각하는 엑시트(exit)에 있습니다. 상장을 유지하는 경우도 있으나 상장 폐지하는 이유는 기업 가치 제고를 위한 다양한 주요 경영상 의사결정을 본인들이 장악한 이사회 중심으로 진행하기 위함입니다.

    상장되어 있을 경우 거의 모든 건을 공시해야 하고 소액주주 눈치도 봐야하는 상황이 생기는데 목표가 뚜렷한 사모펀드 입장에서는 불필요합니다. 또한, 상장 시 유리한 자본 조달도 엑시트가 목적인 사모펀드에는 필요성이 크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