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체감온도는 어떻게 측정하는 기술인가요??

체감온도는 어떻게 측정하는 기술인가요??

요즘 인도에서도 체감온도가 60도가 넘어간다고 하는데요.

온도계로 측정이 가능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체감온도는 사람이 실제로 느끼는 온도를 나타내며, 이는 기온, 바람의 세기, 습도, 일조량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리고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측정식이 있으며, 지난 2022년 약간 바뀌면서 여름과 겨울의 측정식이 다릅니다

      1. 여름철 체감온도 : -0.2442 + 0.55399Tw + 0.45535Ta – 0.0022Tw2 + 0.00278TwTa + 3.0(기존 3.5)

      • Tw = TaATAN[0.151977(RH+8.313659)1/2] + ATAN(Ta+RH) - ATAN(RH-1.67633) + 0.00391838RH3/2ATAN(0.023101RH) - 4.686035

      • Ta : 기온, Tw : 습구온도(Stull의 추정식 이용), RH : 상대습도(%)

      1. 겨울철 체감온도 : 13.12 + 0.6215Ta - 11.37 V0.16 + 0.3965 V0.16Ta

      • T : 기온, V : 10분 평균 풍속(km/h)

      이렇습니다. 다면 겨울철 체감온도는 기온 10도 이하, 풍속 1.3 m/s 이상일 때만 산출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체감온도는 실제 온도 외에 풍속, 습도 등을 고려하여 사람이 느끼는 온도를 계산한 값입니다. 실제 온도계로 측정되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환경 조건을 바탕으로 수식이나 모델을 통해 계산됩니다. 인도의 체감온도가 60도가 넘는다는 것은 단순히 기온만 측정한 것이 아니라, 높은 습도나 강한 햇볕 등의 영향으로 인해 사람들이 느끼는 온도가 그만큼 높다는 의미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체감온도는 실제 온도와는 달리 인간이 느끼는 주관적인 온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값은 온도, 습도, 바람의 속도 등의 여러 기상 요인을 고려하여 산출됩니다. 온도계만으로 체감온도를 직접 측정할 수는 없으며, 주로 기상학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공식을 사용해 계산됩니다. 이러한 공식은 기상청이나 관련 기관에서 공개한 자료를 바탕으로 구현되며, 스마트폰 앱이나 웹사이트에서도 이 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높은 습도와 강한 햇볕으로 인해 인도와 같은 곳에서는 체감온도가 실제 온도보다 훨씬 높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 전문가예요~

      체감 온도는 절대적인 온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온도를 측정하는 곳의 바람의 속도와

      습도까지 고려하여 실제로 사람이 몸으로

      느끼게되는 온도를 산출해서 측정하는 온도예요~

      태양 빛이 비치면 체감 온도는 더 높아질 수도 있구요.

      체감 온도를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바람의 속도와 습도 및 기온과 일사량을 고려해서 계산을 하게 되어요~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체감온도의 경우 사람들의 평상시 옷입는 패턴과 평균적인 기온을 통계적으로 만들어내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체감온도는 주변 환경의 온도뿐만 아니라 바람의 세기, 습도, 옷차림 등 여러 요소에 영향을 받습니다. 체감온도를 측정하는 기술로는 "체감온도 지수"가 사용됩니다. 이 지수는 주어진 환경 조건에서 사람들이 실제로 느끼는 온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기상청이나 기상 관련 기관에서 발표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체감온도는 말 그대로, 우리의 몸이 느끼는 온도를 말하며,

      체감온도는 별도로 측정하는 것이아닌니나 여름에는 습도를, 겨울에는 풍속을 반영하여 체감온도를 산출하여 활용하게 됩니다.


      다만 관측을 방해하는 요소를 최소화하여 기온과 습도, 풍속 등을 풍속등을 관측하여 반영하는거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체감온도는 기온, 풍속, 습도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인간이 느끼는 온도를 나타냅니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됩니다. 인공지능 기반의 모델을 활용한 체감온도 예측 방법과 Wexler 공식을 통한 계산 방법이 있으며, 또한 온도계, 풍속계, 습도계를 사용하거나 스마트폰 앱이나 체감온도 센서를 활용하여 측정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

      체감 온도는 기온, 바람, 습도 등 여러 기상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측정되는 온도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체감 온도 산출 공식은 윈드칠이라고 부르는 온도 공식입니다. 이 공식에서는 기온과 바람 속도 값을 이용하여 체감 온도를 계산합니다. 바람이 강할수록 체감 온도는 실제 기온보다 낮아지게 되고 일부 모델에서는 습도, 일사량 등의 요소도 추가적으로 고려합니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습구온도와 바람 속도로 체감 온도를 산출하기도 합니다. 체감 온도는 기온만으로는 알 수 없는 실제 체감 열기나 추위 정도를 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