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옹골진비단벌레179
옹골진비단벌레179

경기도 김장시기 언제가 적당할까요 ???

김장을 할까싶은데 날씨가 오라기락 해서요

너무 이른지 정말걱정스럽네요

많이는 담그지 않지만 궁금하네요

언제담가야 맛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컴터넘버원
    컴터넘버원

    안녕하세요. 컴터넘버원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하는 마음으로 찾아보았습니다.

    일반적인 김장시기는 평균기온이 4℃ 이하로 유지 될 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예로부터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기 전인 11월 말에서 12월 초인 입동 전후를 가장 좋은 김장시기로 여겼답니다.

    이는 김치의 주재료인 채소가 얼기 전에 김장을 하는 것이 좋고, 날씨가 너무 따뜻할 경우 김치가 쉽게 쉴 수 있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김장 시기가 점차 늦어지는 추세이며, 겨울철에도 쉽게 채소를 구해 김치를 담글 수 있어 김장을 하지 않는 가정도 늘어나고 있어요.

    출처 : 김장시기 및 알뜰하게 김장하는 방법,김장시기가 중요해요(작성자:농협 목우촌)

  • 올해의 정확한 김장시기는

    정해지지 않았는데요.

    통상적인 기간은

    서울, 경기, 중부내륙지방은 11월 하순이었으며,

    남부 및 동해안지방은 12월 상순 ~ 중순,

    남해안은 12월 중순 후반이었습니다.

    아마 올해도

    비슷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일반적으로 김장하기 제일 좋은 날은

    입동 전후라고 해요!

    올해의 입동은 11월 7일이니

    김장 시기가 조금 빨라지지 않을까요?

    지역별 김치의 특징

    지역의 따라 날씨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각 지방의 음식들도 약간씩 다른데요.

    그건 김치에서도

    예외는 없습니다.

    사용하는 양념에 따라

    지역별로 특색있는

    김치가 만들어집니다.

    과연 어떻게 다를까요?


    수도권 김치

    서울을 비롯한 경기권의 지역들은

    중간다운 김치맛을 자랑합니다.

    짜지도, 싱겁지도 않은 김치로

    새우젓, 조기젓, 황석어젓 등

    담백한 젓국을 사용하여

    감칠맛을 살리고,

    멸치젓과 생새우 등도

    많이 사용합니다.

    강원도 김치

    강원도는 동해와 인접해있어

    오징어를 비롯한

    생선류를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생선류를 이용한 김치가

    발달하였습니다.

    대표적인 김치로는

    가자미식해, 해물김치, 북어배추김치,

    아가미(서거리)깍두기, 오징어김치,

    무청김치 등이 있습니다.

    충청도 김치

    충청도는 서해에 접해있어

    조기젓, 황석어젓, 새우젓 등을 사용하여

    수도권 지역과 비슷합니다.

    이 외에도

    낫, 미나리, 청각, 식힌 풋고추 등을

    잘 사용하여

    나박김치, 호박김치, 알타리김치,

    열무물김치, 가지김치 등이

    유명하답니다~!

    대표적으로

    부추김치, 고추김치,

    멸치젓석박지 등이 있습니다.

    전라도 김치

    맵고 짭짤하고, 진한 맛과 감칠 맛이

    일품인 전라도 김치!

    재료가 풍성하여

    김치의 종류도 다양한데요.

    고추와 젓갈을 많이 넣어

    김치가 시어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다른 지방에 비해

    통깨를 많이 쓰는 특징이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고들빼기김치, 갓김치, 동치미가

    유명합니다!

    제주도 김치

    제주도는 기후가 매우 따뜻해서

    따로 김장을 하지 않기도 하는데요.

    양념을 적게 사용하여

    재료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전복김치, 퍼대기김치,

    갓물김치, 톳김치가

    유명합니다!

    경상도 김치

    경상도는

    마늘과 고춧가루를

    많이 사용하여

    자극적이고 매운 것이 특징!

    부패를 방지하고,

    지방성분의 산팩을 막기 위함인데요.

    따뜻한 날씨 탓에

    음식이 상하지 않도록

    소금을 많이!

    멸치젓과 생갈치를 사용하며,

    생각은 적게 사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