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수리무
수리무

단경왕후 신씨는 실제로 왕비로 책봉이 되었나요?

중종반정으로 신수근이 죽고 그딸도

폐비가 되었습니다.

단경왕후 신씨가 7일만에 폐위가 되었다는데 그럼 군부인 이었다가 정식으로

왕비로 책봉되야 단경왕후로 부를 수 있는데 책봉이 된적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단경왕후 신씨는 조선 중종의 정비이다. 조선의 역대 왕비 중 제일 짧은 7일의

      재위 기간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종반정 직후 역적의 딸로 연좌되어

      폐출된 후 230여년 후인 영조 대에

      부모와 함께 복권되었다.

      -출처: 위키백과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단경왕후는 1506년 진성대군이 중종으로 추대되자 왕후에 올랐으나 고모가 연산군의 비이고, 아버지가 연산군의 매부로 연산군 축출을 위한 반정모의에 반대한 일로 성희안 등에게 살해되며서 공신들의 압력으로 폐위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네, 단경왕후는 실제로 중종 즉위 후 왕비로 봉해졌으나, 아버지였던 신수근이 연산군의 처남이어서 사실상 반정세력 입장에서는 신씨를 왕비로 받들 수가 없었으므로 7일 만에 폐출되었다고 합니다. 사실상 조선시대 최단기 왕비였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 - -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성의껏 답변을 드려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단경왕후 신씨 ~1557년 12월 27일 ) 조선 중종의 정비 이다. ... 1506년에 중종반정으로 진성대군이 왕위에 오르자 왕비로 책봉되었다.

    • 안녕하세요. 중종반정 시기에 단경왕후 신씨는 신수근의 딸로, 신씨의 폐위와 관련된 역사적 사실은 다음과 같습니다.

      중종반정 이후, 신씨는 왕후로 책봉되었습니다. 그러나 그녀는 지위가 높은 왕후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출신이 문신가의 딸이었다는 이유로 궁중 내에서 예의를 차리지 않아 많은 비난을 받았습니다. 이에 당시 국왕인 고종은 그녀를 폐비로 내리려 하였으나, 국왕의 어머니인 인조대비가 이를 막았습니다.

      그리고 이후, 1884년(고종 21년)에 신씨는 대비로 승진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단경왕후라는 호칭을 받는 것이 아니라, 대비라는 호칭을 받게 된 것입니다. 따라서 신씨는 단경왕후가 아니라 대비로 기록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