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보도연맹
보도연맹

안녕하세요 가난한 중고노인네입니다. 인간은 왜 숫놈과 암놈이 만나야 할지, 이것은 인간의 영역일지 참 호기심이 많습니다. 과학으로 증명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가난한 중고노인네입니다. 인간은 왜 숫놈과 암놈이 만나야 할지, 이것은 인간의 영역일지 참 호기심이 많습니다. 과학으로 증명이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간이 왜 남성과 여성이 만나야 하는지, 즉 성적 생식이 왜 존재하는지에 대한 질문은 생물학과 진화론의 중요한 주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성적 생식은 두 개의 부모(암컷과 수컷)의 유전자를 결합하여 새로운 개체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유전적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유전적 다양성은 종이 환경 변화에 적응하고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성적 생식은 부모의 유전자를 섞음으로써 후손이 다양한 유전적 특성을 가지게 합니다. 이는 질병, 환경 변화 등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고, 장기적으로 종의 생존을 촉진합니다. 유전적 다양성은 자연선택의 과정을 통해 종이 진화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다양성이 많을수록, 변화하는 환경에서 생존하고 번식할 가능성이 높은 개체가 더 많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인간은 생물학적으로 종족 번식을 위해 성적 생식을 하도록 진화했습니다. 성적 생식은 인간의 생리적 과정의 일부이며, 인간의 본능과 사회적 관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인간이 남성과 여성이 만나야 하는 이유는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고 종족을 번식시키기 위해서입니다. 과학적으로, 성적 생식은 두 개체의 유전 정보를 결합해 자손에게 전달하며, 이는 유전적 다양성을 높여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강화하고, 환경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을 증가시킵니다. 이러한 과정은 인간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생물에서 관찰되며, 자연선택의 결과로 발전해 온 진화적 메커니즘입니다.

  • 인간의 짝짓기는 생물학적, 사회적, 심리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현상입니다.

    과학적 관점으로 본다면 생식과 유전적 다양성입니다.

    생식의 가장 기본적인 이유는 종족 번식입니다. 인간을 포함한 대부분의 생물은 유성생식을 통해 후손을 남기는데, 이는 유전정보를 섞어 새로운 개체를 만들어내는 과정이죠.

    그리고 이러한 행위 즉, 유성생식은 유전적 다양성을 증가시켜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의 경우 말씀하신대로 숫놈과 암놈이 만나야 할지를 정의하는 것이 매우 어렵습니다.

    앞서 과학적인 말씀은 드렸지만, 이 외에도 사회적인 부분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인간의 짝짓기는 생물학적 현상이지만, 동시에 사회적, 문화적, 심리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과학은 짝짓기에 대한 생물학적 기반을 설명할 수 있지만, 사랑, 유대감, 사회적 관계와 같은 더 깊은 의미에 대해서는 설명이 좀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인간은 포유류로서 숫놈과 암놈으로 구분되어 생활하고 종족번식을 위해 짝짓기를 합니다. 암놈은 자궁을 가지고 있고 자식을 키우고 낳을 수 있는 역할이 부여되어 있습니다.

    왜라고 물으셨다면 그 이유는 진화의 과정에서 나타난 아직까지 가장 효과적인 종족 번식의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최초의 암수가 구분되어 살다가 추후에 자손을 만들어번식하는 행위는 인간을 포함한 많은 생물들이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종족의 번식, 번영을 이루기 위하여서는 그 수가 많아아하고, 이전세대에서의 문제점이 줄어야할것이고, 현대 생태계에 적응할 수 있어야하는 부분입니다.

    그것을 위해서는 우리가 흔히아는 유전정보의 집합체 DNA의 구성이 이전세대와 달라져야합니다. 열성인 유전질환은 도태될것이고 우성인 특징들은 계속 이어질 것입니다.

    능력없는 수컷들은 짝짓기의 기회를 잃고 도태되는 상황은 수천년이나 이어져왔습니다, 최소한 노력하는 녀석들은 어떻게서는 자신의 유전자를 펼칠 수 있는 기회를 가져왔습니다.

    이렇듯 현재 인간의 수명이 긴점,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는 모든것들은 진화의 결과인 것입니다. 남녀가구분되고 역할이 특정되며 모성애를 가지는 여성의 경우 천적으로부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고, 굶지 않을 수 있었으며, 잘곳을 챙길 수 있었지요.

    인간의 영역뿐만 아니라 모든 생물진화의 영역이며 혹시 짝을 찾지 못했더라도 그것을 위해 아니면 다른 것을 위하여 노력하며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